광고
광고
광고
광고

[국감] 매년 전동킥보드 화재 늘지만… “화재 원인 파악 안돼”

김규환 “철저한 조사 후 관련 정보 국민에게 전달해야”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19/10/04 [10:45]

[국감] 매년 전동킥보드 화재 늘지만… “화재 원인 파악 안돼”

김규환 “철저한 조사 후 관련 정보 국민에게 전달해야”

최누리 기자 | 입력 : 2019/10/04 [10:45]

▲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  © 김규환 의원실 제공

 

[FPN 최누리 기자] = 전동킥보드로 인한 화재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이 발화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일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대구 동구을)이 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로 인한 화재는 지난 2016년부터 올해까지 1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16년 1건에서 2017년 2건, 2018년 4건, 올해 9월까지 10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2명이 숨지고 24명이 다치기도 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 중 2건에 대해서만 사고 제품을 확인했고 나머지 15건의 경우 제품 확인도 못 했다.

 

또 국표원은 2017년 1월 사고의 경우 동일 제품을 구매해 조사했지만 결함을 발견하지 못했고 지난 5월 17일 사고는 동일 제품 단종으로 사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표원은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소방서 등이 화재진압과 현장 사고 원인 조사를 진행하고 경찰청이 피해자와 주변인, 사고 제품을 특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직접적인 조사 기관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국표원은 지난해부터 세 차례에 걸쳐 80개 전동킥보드 모델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해 9개 중국산 모델에 리콜 명령을 내린 바 있다.

 

해당 모델의 위해 정보는 ▲안전기준 초과 속도 주행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 증가(8건) ▲방수 실패로 오작동 등 사고 발생 가능(1건) ▲긴 제동거리로 사고 발생 가능성 증가(1건) ▲충전상태에서 화재 발생 위험(1건) 등이다.

 

김 의원은 “국표원은 화재 사고 조사와 안전성 조사를 철저하게 실시해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며 “결함이 있는 제품은 시중에 유통될 수 없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