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최근 5년간 소방 심정지 환자 이송 소생률 6.6%에 그쳐10세 이하 어린이 소생 100명 중 3명… “대책 마련해야”
[FPN 최누리 기자] = 최근 5년간 심정지 환지의 이송인원 소생률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심폐소생 이송인원 대비 소생인원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이송환자는 15만1154명이다. 이 중 6.6%인 9957명만 소생됐고 나머지 93.4%는 숨을 거뒀다.
지역별 소생률을 보면 광주가 9.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대전 5.8 ▲전북ㆍ경남ㆍ제주 5.1 ▲강원 4.4 ▲충북 4.3 ▲경북 4.1 ▲전남 3.2% 등이 뒤를 이었다. 소병훈 의원은 “지역마다 소생률이 다른 건 구급차의 현장 도착 시간과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지역별 구급차 현장 도착 시간으로는 전남과 경북, 충북, 전북이 10분으로 가장 늦은 반면 서울과 대구, 광주는 6분이었다.
10세 이하 어린이의 소생률은 2124명 가운데 3.3% 꼴인 70명만이 목숨을 건졌다.
소병훈 의원은 “시ㆍ도 본부 간 소방력 격차로 심정지 환자의 생사가 갈리는 건 문제다”며 “10세 이하 어린이 생존율이 100명 중 3명에 그쳐 정부 차원의 원인 규명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