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 별이 보이는 넓은 적막한 바다를 항해하다 보면 멀리서 보이는 등대 불빛은 섬ㆍ곶ㆍ항구ㆍ해안선 등의 위치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장소 등을 피해 안전한 항로로 운항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깜깜한 밤에 바라보는 등대 불빛은 대부분 사람의 마음속에 희망의 불빛과도 같은 감정일 것이다.
119는 시민들이 아프고 다치고 고립됐을 때 도움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등대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관광지ㆍ유원지ㆍ도로ㆍ도심 번화가 등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나 산행 중 조난을 당해 핸드폰이 불통인 경우 모두 119의 도움의 손길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신고하기 난처하고 당황스럽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상황에 처한다면 문득 머리에 스쳐 지나는 것은 ‘119에 어떤 방법으로 신고하지’일 것이다.
신고할 때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주변 건물에 설치된 간판에 적힌 상호 전화번호나 한국전력공사에서 설치한 전신주 번호를 알려주면 된다.
간판 상호에 표기된 전화번호를 조회하면 KT한국통신의 자료 제공으로 건물 주소가 상황실 접수자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 신고자의 위치를 즉시 인지할 수 있다.
한국전력공사에서 설치한 전신주는 상가와 번화가가 있는 도심지의 경우 30m, 도시지역 40m, 농촌지역 50m, 외곽지역 70m의 간격으로 설치돼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전신주 번호표 상단에 ‘위험’으로 표기된 글자 밑에 2줄, 칸 속에 표기된 아라비아 숫자와 영문자로 혼용된 8자를 알려주면 상황실에서 정확한 전신주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출동하는 소방관의 도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119는 다양한 신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핸드폰 불통지역이나 음성통화가 곤란한 상황에서는 현장 상황 내용을 문자로 보내면 신고가 가능하다. 사진이나 동영상 첨부도 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 또는 외국인처럼 한국어가 능통하지 않아 신고가 곤란한 상황을 대비해 119에서는 17개 다국어 언어에 대해 BBB(Before Babel Brigade) 자원봉사 통역서비스가 운영된다. 3자(신고 외국인, 상황실 접수자, 통역자원봉사자) 간 자동통화 방식으로 신고 접수가 가능하다.
대상 언어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폴란드어 ▲터키어 ▲스웨덴어 ▲태국어 ▲베트남어▲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 ▲몽골어 등이다.
청각장애인은 수화 또는 사고 현장 상황을 종이에 적어 영상통화로 119에 신고하면 상황실 모니터에 설치된 웹캠으로 화면을 확인해 접수할 수 있다. 앱 신고는 스마트폰 ‘PLAY STORE’에 접속하고 119 신고 검색해 설치하면 된다. 스마트폰 화면에 화재신고와 구조ㆍ구급신고가 표시되므로 필요한 것을 터치만 하면 된다.
119로 신고 접수되면 출동시스템에 따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관할 소방서 안전센터와 구조ㆍ구급대에서 출동하게 된다. 정확한 재난ㆍ사고 위치 파악은 출동경로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인력ㆍ장비 등 소방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출동으로 인한 공백을 줄이는 효과를 준다.
119는 도심 번화가, 여행지, 도로뿐만 아니라 산행 중 조난을 당해 모르는 장소ㆍ공간에서 아프고 다쳐 고립된 경우 등 다양한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때 불안하고 두려움을 느끼는 시민에게 어두운 장소로부터 안전한 장소ㆍ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희망의 불빛을 비추는 등대라는 생각을 갖고 현장으로 달려간다.
충북 괴산소방서 장창훈 서장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괴산소방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