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화재의 원인은 요즈음 추운 날씨로 인해 사용하고 있는 전기장판의 과열로 인한 화재, 가스렌지 위에 음식물 조리중 잠이 들거나 외출 등으로 인한 가스화재, 담배를 피운 후 담뱃불을 완전히 끄지 않고 베란다나 가연물에 버려 발생한 화재, 어린이가 라이터로 커텐 등에 불을 붙여 발생하는 화재가 대부분이며 주택화재는 침구류 등 화재 위험이 높은 실내 장식물이 많아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 질식에 의해 인명피해 우려도 높다. 가정에서는 언제나 사소한 불씨 하나가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하며 항상 화기 취급시 주의를 기울이는 자세를 가져야 하겠다. 또 잠자기 전에 집안의 전기기구와 가스기구를 끄고 잠그는 습관을 가져야하며 난로 주위는 탈 수 있는 물건과 일정한 간격을 두어야 한다. 전선코드는 완벽하게 꽂고 문어발식 배선을 하지 않으며 전기용품은 안전인증 제품을 사용하고 가스 불을 켜기 전에 냄새를 맡아 확인한 후 사용하며 정기적으로 배관과 호스를 점검하여야 하고 담뱃불 화재예방을 위해 재떨이에 물을 넣고 사용하며 성냥이나 라이터 등은 안전한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주택화재시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 단독주택에서는 설치가 쉽고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감지기를 거실이나 주방의 천정에 설치하여 불이 났을 경우 초기에 알 수 있도록 해야한다. 만약에 주택에서 불이 났을 때는 큰소리로 거주자들에게 알리며 신속히 119에 신고한다. 소화기를 사용해도 진화되지 않는다면 물건을 챙기려 하지 말고 신속히 대피한다. 이때 엘리베이터는 전기가 꺼지게 되면 갇힐 위험이 있으므로 이용하지 않고 피난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하여야 하며 연기와 화염으로 인해 빠져나오기가 어려워 갇혀 있을 때는 손수건이나 수건 등에 물을 적셔서 입과 코를 가리고 젖은 수건으로 문틈을 막아 연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위치를 알려 구조요청을 해야한다. 주택의 안전은 자기 자신이 지키는 것이지 남이 지켜주는 것이 아니다. 모든 가정이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하면 우리 시가 안전하며 우리 사회가 안전해지는 것이다. 가족의 안전을 위해 모두가 화재예방안전수칙을 준수하여 화재로부터 소중한 인명 및 재산을 지켜 행복한 가정을 보호해야겠다. 광주남부소방서 현장대응과장 안기철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주남부소방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