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의 첫 번째 주의할 점은 저체온증이다. 아무리 낮 기온이 따뜻하다고는 하지만, 봄철에는 밤낮 일교차가 심하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따뜻한 보온의류나 방풍자켓 등 여분의 옷을 준비해야 한다. 여분의 의류 준비 없이 간편함만 추구한 복장으로 산행을 하다가 자칫 큰 사고로 이어 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환절기 산악사고 유형을 볼 때, 겨울철 산의 강풍은 체온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며 저체온증을 유발시킨다. 일반적으로 저체온증은 의류등 준비가 허술한 상태에서 눈, 비, 강풍을 산에서 만나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질 때 흔히 발생한다. 사람은 체온이 35도이하로 떨어지면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되는데 그 상태에 따라 한 시간 이상만 경과하더라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저체온증은 허기지고 지쳤을때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심하며, 순간적으로 와서 회복불능상태로 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언제나 자신감 보다는 보온의류, 따뜻한 물등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두 번째 주의할 점은 낙석사고다. 산에서는 여러유형의 사고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낙석사고는 사망 등 중상을 입을 수 있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를 요한다. 낙석사고는 봄에 날씨가 풀리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겨울에 얼었던 돌이나 작은 바위가 얼었다 녹기를 반복함에 따라 주변 지지기반이 약해지게 되는데 이때 그 바위 등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돌이나 바위가 밑으로 떨어지면서 사람이 맞는 경우 발생하는 사고다. 이런 낙석사고는 가파른 산길에서 떨어질 때 수직벽 옆을 지날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위험요소들 뿐만 아니라 꽁꽁 얼었던 겨울이 가고 날씨가 따뜻해짐에 따라 해이해진 마음을 적절한 준비 없이 산행에 나서는 것도 큰 위험요소다. 산행에 나서기 전 미리 준비운동 및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몸의 관절 및 근육을 풀어주고, 본인에 맞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준비에도 불구하고 산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산행 전 사고발생시 신고 요령과 기본적인 응급처치 요령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산악위치표시판(이정표)을 활용하여 신고한다면 구조대의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산악위치표시판은 등산로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쉽게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소독약품과 압박붕대, 반창고, 파스 등 비상응급약품 몇 가지를 준비 하거나 등산로 구급함의 위치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기본적인 봄철 산행의 유의사항을 명심한다면 봄의 기운을 마음껏 받을 수 있는 즐거운 산행이 될 것이다. 광주남부소방서 119구조대 김형삼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주남부소방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