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기고>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안전한 광주ㆍ전남권이 최적지!

광고
광주남부소방서장 김선배 | 기사입력 2011/05/06 [10:53]

<기고>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안전한 광주ㆍ전남권이 최적지!

광주남부소방서장 김선배 | 입력 : 2011/05/06 [10:53]
 
▲ 광주남부소방서장 김선배  
지난 3월 11일 일본의 역사상 최대 규모인 진도9.0의 강진과 그 여파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유출로 전 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이번 지진은 1900년 이후 발생한 지진 중 세계에서 4번째로 강한 지진으로 사망자가 최소 2만 5천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파괴되면서 방사능 유출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세계 제2의 경제대국, 아시아의 선두주자 일본은 이번 지진으로 그 위상을 지킬 수 있을지 의문시되고 있다. 안전은 지켜지고 있을 때는 그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하고서야 뼈저린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중요한 사업이나 계획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기본인 것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일명 과학벨트)는 2015년까지 3조5천억 원을 들여 우리의 독창적이면서 고유한 원천기술을 확보하자는 기본 철학을 가지고 연구원들이 편리하게 활동할 연구, 거주, 비즈니스 환경 및 첨단산업 기능을 하나의 벨트로 만들기 위한 정부의 구상이다. 이 구상에 39개 시ㆍ군 53개 지역이 유치경쟁에 참여하고 있고, 그 중 충청권과 대구ㆍ경북 그리고 광주ㆍ전남이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국책사업의 결정에는 여러 가지의 사정을 고려하여 결정해야할 것이다. 과학벨트 본래의 목적을 위한 연구지반의 구축ㆍ집적도, 산업기반구축ㆍ집적도, 우수정주(定住)환경 조성 정도, 국내외 접근용이성 등의 기본 조건을 갖추어야함은 물론이고 사회ㆍ국가적으로 국민통합과 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업이 결정되어만 한다는 것이다.

중이온가속기는 입자나 이온을 빛의 속도에 가깝게 구동시켜 충돌시킨 뒤 변화를 관찰하는 장비다. 중이온이란 수소, 헬륨보다 무거운 지구상의 모든 원소의 이온을 말한다. 이러한 가속기는 그 반경만 해도 수킬로미터에서 수십킬로미터에 달한다. 예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둘레는 27㎞나 된다.

안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서 인지는 몰라도 필자는 과학벨트의 선정조건 중 가장먼저 고려해야 할 조건은 바로 안전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가속기의 크기와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지반을 가진 곳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입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시키는 시설에 사고가 발생한다면 어떤 상황이 될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심각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만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과학벨트의 경제성이나 중이온가속기가 기초과학의 필수시설이라는 것 등의 사실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나의 전공분야도 아닐뿐더러 과학분야는 실제 너무 어려운 부분이 많아 관심도 적다. 하지만 이것 하나만은 안다. 과학벨트 사업의 선정에는 정치적 고려나 경제성의 검토 이전에 안전이 최우선으로 검토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지진관측 이래로 진도 4.0이상의 지진이 단 한 차례도 없는 안전지대인 광주ㆍ전남지역이 최적지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광주남부소방서장 김선배  



광주남부소방서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