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중앙인사위원회, 1∼3급 공무원 행정·기술직 구분 철폐

광고
관리자 | 기사입력 2004/01/12 [00:00]

중앙인사위원회, 1∼3급 공무원 행정·기술직 구분 철폐

관리자 | 입력 : 2004/01/12 [00:00]
중앙인사위원회 1∼3급 공무원 행정·기술직 구분 없앤다.

중앙인사위원회 한 관계자는 연말까지 정부부처를 포함한 중앙행정기관 1∼3급 일
반직 고위공무원들의 직군과 직렬이 통합돼 행정직과 기술직의 구분이 없어진다고
밝혔다.

오는 2006년 출범할 예정인 고위공무원단은 이를 바탕으로 중앙부처 1∼3급 고위
공무원 1,400여명으로 짜여질 전망이다.

행정·기술직 구분 철폐는 정부의 기술직 우대정책과도 맥이 닿는다.
또 4급 간부공무원들은 직렬 구분 없이 행정직·기술직·공안직 등 직군으로만 구분
한다.

이와 함께 중앙부처 22개 국장급 직위의 교류인사 결과는 소속부처 장관의 평가에
서 주요항목으로 반영된다.

조창현 중앙인사위원장은 지난 8일 한 관계공무원은 고위공무원단 출범의 전 단계
로 올해 말까지 1∼3급의 직군과 직렬을 통합해 행정직과 기술직의 구분 없이 인사발
령을 내겠다고 말했다.

기술직이 맡을 수 있는 자리를 제한했던 것을 풀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공무원 임용령에 따르면 직군은 행정직·기술직·공안직으로 나눠지며 직렬은 이를
세분화해 70여개에 이른다.

각 부처는 직군·직렬 통합에 발맞춰 직제령을 개정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공안
직(교정·출입국 관리 등)은 업무의 특수성과 적은 숫자를 감안해 행정·기술직과의
직군 통합에 신중을 기하고 있지만, 결국 통합 쪽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덧붙였
다.

이에 따라 공업, 농림, 축산, 수의, 수산, 물리, 보건, 의무, 약무, 간호, 환경, 교
통, 선박, 항공, 수로, 시설, 정보관리, 정보통신 등의 기술직 이사관(2급) 또는 부
이사관(3급)은 행정직이 맡아왔던 직위에 언제든지 갈 수 있으며, 관리관(1급)까지
승진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조 위원장은 그러나 부처별 직무 등급을 차등화해 성과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강
조했다.

그는 고위공무원단은 중앙부처 1∼3급 공무원 1,400여명으로 구성할 방침이라면
서 여기에 포함되려면 it와 인적관리, 재정경제, 과학기술, 등에 대한 전문성을 갖
춰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인사위원회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