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에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전기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득이 될 수도 있고 해가 될 수도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기온하강으로 인한 사용량 증가로 각별한 주의와 올바른 사용이 필요하다. 겨울철은 전기사용량 증가와 비례해 전기화재 발생률도 증가하는데 분포를 보면 합선에 의한 화재는 줄어드는 반면 과부하나 접촉부과열, 접촉부불량, 정전기에 의한 화재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생활수준 향상으로 가전기기 등이 대형화되고 다양한 부하기기가 늘어나면서 과부하 현상과 노후화된 설비의 적절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라고 분석한다. 이에 따라 전선이나 전기기구 등이 낡아 절연불량 등의 원인으로 전류가 건물 내의 금속체를 통하여 흐르게 돼 이로 인한 저항 열에 의해 발열을 일으키거나 전기히터 등을 동시에 사용해 적정용량 초과로 불이 붙는 현상 등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이 비일비재하다. 이런 전기화재는 우리의 조그만 관심으로 예방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념하도록 하자. 첫째, 한 개의 콘센트나 소켓에서 여러 선을 끌어 쓰거나 한꺼번에 여러 가지 전기기구를 꽂는 문어발식 사용을 하지 않는다. 둘째,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를 매월 한 번 이상 시험해 본다. 셋째, 전기히터, 온풍기, 건강매트 등의 제품은 접속부가 헐거워지거나 파손되었는지 세심하게 살피고 그러한 콘센트를 계속 사용할 경우 접속불량에 의한 과열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교체해 줘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 스위치를 끄고 플러그를 반드시 뽑아 둔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알고 있는 일이지만 또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일이니 만큼 전기화재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각인하고 수시로 점검하는 습관을 들여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내도록 하자. 여수소방서 봉산119안전센터 박윤기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