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1.10) 수습상황 - 인명피해(130명) : 사망 4, 중상 1, 경상 18(↓4) * 귀가 107명(↑4) - 이재민 구호 : 289세대 374명(남 186, 여 188), 긴급생계지원(누계) : 160세대 124백만원 ※ 임시거주(세대/명) : 경의초 18/25(강당 16/22, 교실2/3), 찜질방 37/60, 친척집 등 234/289 - 「취약지 화재안전관리 및 폭설·한파 안전대책」국가정책조정회의 상정(1.22) ▲ 구제역 대처상황 * 최초(’14.12.3, 진천) / ‘경계’ 발령(’14.12.18) - 발생(누계) : 5개 시·도 15개 시·군, 63개 농장(소 1, 돼지 62) * 돼지농장(2↑) ※ 1.20(화) 신고된 돼지농장 2개소(경기 용인 1, 충북 진천 1) 양성 판정(1.21) - 매몰(금일/누계) : 3개 농장 576두 / 66개 농장 63,786두 - 1.21(수) 전국 일제소독의 날 운영(축산농장·축산시설·차량 일제 소독 실시) - 소방력 지원(일계/누계) : 68명 42대/1,743명 967대, 급수지원 170톤/3,876톤 ▲ AI 대처상황 * 최초(’14.9.24, 영암) / ‘경계’ 발령(’14.9.25) - 발생(누계) : 6개 시·도 15개 시·군, 50개 농장(농가 39*, 전통시장 11) * 농장(2↑) * 1.19(월) 신고된 오리농장 2개소(전북 정읍 1, 전남 무안 1) 양성 판정(1.21) ※ 1.21(수) 경기 이천 산란계 농장 1개소 의심축 신고 - 매몰(일계/누계) : 없음 /54개 농장 970천수 - 소방력 지원(일계/누계) : 17명 9대/232명 133대, 급수지원 56톤/614톤 ▲ 대설 대처상황(1.21~22) - 피해ㆍ통제상황(잠정) : 없음 - 대처상황 : 제설작업 119개 구간 실시(인력 507명, 장비 330대, 제설자재 1,550톤) ▲ (추락사고) 부산 영도구 청학동『크레인 기계실 추락』 - 09:46, 선박건조용 폐크레인(40톤급, 80년 제작) 해체작업 중 기계실 추락, 사망 4명 ■ 재난안전 예방 활동 및 훈련 ▲ 안전처, 제4회 어린이 안전짱 체험박람회 개최(1.22∼24) - 교통ㆍ재난안전 등 4개 분야 30여개 프로그램 운영(1.22. 10시 개막, 코엑스) - 어린이ㆍ학부모 등 12,000여명(1일 4,000명 예상), 15개 기관 참여 ▲ 안전처, 재난현장 대응수습 표준 프로토 타입 개선 관계관 회의(1.22) - 『재난현장 대응수습 표준 프로토 타입』개선을 위한 관계 기관별 임무 및 역할 분담, 협조사항 등 논의 ▲ 해수부, 특수신호표지 설치대상 해역 지정 고시(1.21) - 해양기상 또는 조류의 영향으로 해양사고 발생이 예상되는 해역에 조류·해상기상·자동위치식별 등 특수신호표지 설치 의무화 ▲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전 사이버테러 막는 전담조직 신설(1.21) - 원전 해킹 등 사이버테러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조직 신설 - 정기 점검에 사이버 보안 항목 추가 및 사이버위협 대응훈련 등 시행 ■ 소방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 화재진압 활동 ▲ (상가화재) 경북 경주시 노동동『1층 미용실(1/0층)』 - 09:01~10:45, 미용실에서 발화, 점포 4개 74㎡ 및 집기류 소실(28백만원) ▲ (공장화재) 경기 화성시 팔탄면『코팅제 원료 제조(일진유화공업)』 - 09:34~10:21, 파라핀* 희석작업 유증기 착화, 경상 2명(1도화상), 150㎡ 및 설비 소실(25백만원) * 파라핀 : 석유를 증류하여 얻는 포화탄화수소의 혼합물로 양초, 광택제, 절연체 등의 원료로 사용 ▲ (관공서화재) 서울 서대문구 창천동『서대문우체국 폐기물창고(4/3층)』 - 15:45~16:00, 지하2층 폐기물에서 발화, 인명대피유도 9명, 40㎡ 그을림 및 케이블 소실(47만원) ▲ (노래방화재) 울산 중구 태화동『지하1층 노래방(4/1층)』 - 18:45~19:10, 전기적 요인 발화, 40㎡ 및 노래방기기 등 소실(16백만원) ▲ (점포화재) 경남 통영시 태평동『설비사무실(1/0층)』 - 23:01~23:20, 사무실에서 발화, 3개 점포(미용실, 사무실, 점집) 108㎡ 소실(30백만원) ◇ 구조ㆍ구급 활동 ▲ (헬기이송) 제주→전남대병원, 강원 동해→서울연세대병원『중앙119구조본부』 - 08:00, 한라병원 중환자실 염증제거 수술 후 패혈증 쇼크 발생, 여/36세 - 16:33, 나무 절단 작업 중 전기톱에 좌측 손가락4개 절단, 남/52세 ◇ 기타활동 ▲ 구제역 소방력 지원(1.21/누계) : 68명 42대/1,743명 967대, 급수지원 170톤/3,876톤 ▲ AI 소방력 지원(1.21/누계) : 17명 9대/232명 133대, 급수지원 56톤/614톤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해경활동 총괄
◇ 외국어선 단속 ▲ (나포) 목포 1010함 홍도 북서방 28해리 무허가 중국어선(1척) 나포 - 1.21. 13:40 신안군 전남 홍도 북서방 28.9해리(53㎞/허가수역 내측 27.5해리) ▲ (검문) 목포 1010·1509함 홍도근해 / 제주 1506·3002함 제주근해(23척) ▲ (퇴거) 태안 격비도 북서 EEZ선상 및 목포 홍도근해 중국어선(114척) - 1.21. 09:00∼11:00 격비도 북서방 EEZ 선방 1507함 중국어선 35척 퇴거완료 - 1.22. 00:30 백령근해 501함 중국어선 9척 백령도 외곽으로 퇴거완료 - 1.22. 02:30 흑산면 홍도 1010함 북서 28해리 중국어선 70척 퇴거 조치중 ▲ (감시) 서귀포 화순항, 목포 가거도 피항 중국어선 59척(1509함, 101정) ◇ 해양 사고 ▲ (좌초어선) 목포, 좌초 어선(16톤, 8명) 구조(인명·오염피해 없음 / 선체피해 미상) - 1.21. 15:27 ⇒ 16:30 함정 선원 구조 / 금일 고조시(16:00) 이초예정 ▲ (기관고장) 추진기장애 요트(2톤급, 1명) 및 어선(2척 14명) 구조 - 1.21. 05:04 부산 추진기장애 요트(1명) / 12:50 목포 흑산도 추진기장애 어선(1명) 구조 - 1.22. 03:53 제주 차귀도 근해 기관고장 어선(13명) ⇒ 함정 구조차 이동중(07:00) ▲ (응급환자) 도서주민(5명) 및 연평 군인(1명), 선원(1명) 후송(함정 및 헬기) - 1.21. 04:20 금오도 주민(여, 64세) 과다출혈 / 13:10 보령 녹도 주민(여, 75세) 당뇨 - 14:00 추자도 주민(남, 46세) 복통 등 / 17:52 인천 연평도 군인(남, 21세) 눈 반상출혈(멍) - 16:30 군산 위도 주민(남, 56세) 손가락 절상·출혈 / 23:20 서귀포 우도 주민(남, 74) 고혈압 ▲ (선원사망) 울산, 외국적 화물선 선내 외국선원 사망 - 1.21. 시간미상 필리핀선원(57세)⇒금일 해상수사정보과 사고선박으로 이동 조사예정 ◇ 감시 경비 ▲ 서귀포, 이어도상공 중국항공기(CMS B-3837) 채증·감시(3012함) - 1.21. 12:00∼12:05 이어도해양과학기지 및 3012함 상공 1회 선회(반시계) 1월 22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