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부산 해양지방경찰청 설립(?) 수십년 숙원 풀리나..?

광고
소방방재신문사 | 기사입력 2005/09/11 [22:24]

부산 해양지방경찰청 설립(?) 수십년 숙원 풀리나..?

소방방재신문사 | 입력 : 2005/09/11 [22:24]


'육상엔 부산지방경찰청 바다엔 부산지방해양경찰청'. 이르면 내 년부터 부산지역에서는 두개의 지방경찰청을 구경하게 될지도 모 른다.
현재 일선 경찰서와 동급인 부산해양경찰서가 지방경찰청으 로 한단계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육상경찰에 밀려 수십년간 '변방' 역할을 해 오던 해양경찰의 오 랜 숙원이 마침내 풀릴 기미가 보이자 해경은 축제분위기나 마찬 가지다.
해양경찰청의 차관급 기관 승격과 함께 속속 감지되고 있 는 부산해경의 기대 부푼 속내를 들여다 본다.
 
지방청 신설 여부 지난 7월 29일은 한국 해양경찰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날로 기록될 만 하다.
11개 정부부처 차관급 인사에서 이승재 해양경찰청장의 직급이 치안정감에서 치안총감으로 승격된 것이다.

개인의 승진이 기념비적인 일이 될 수 있는 것은 이에 따라 해양 경찰청이 '육상' 경찰청과 동급인 차관급 기관으로 아울러 승격됐 기 때문이다.

이러한 직제개편으로 해경청은 대외적으로 경찰청,소방방재청 등 국내 치안기관과 대등한 위치에 올랐으며 내부적으로 경위 이상의 직급 정원이 크게 늘어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독립한 지난 1996년 이후 최대 승진인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가능성이 높아가던 기관 승격에 내부 승진까지 이뤄지자 자연스럽 게 다음 수순으로 각 지역별 해양경찰서의 승격 문제가 도마에 오 르고 있다.

현재 부산을 비롯한 전국 13개 해양경찰서를 두고 있는 해양경찰 청은 차장직급을 치안정감으로 격상하고 치안감에 해당하는 정책 홍보관리관과 경무관 급인 국제협력관 자리를 신설하는 등 자연스 런 조직 확대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더불어 한반도의 해역별 특성에 맞는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년 중에 지방해양경찰청을 신설하는 방안이 조심스레 검토되고 있다.

감지되는 징후들 지방해양청 신설이 이처럼 예고된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청 승 격이 거론되고 있는 지방해양경찰서는 다름 아닌 부산.

단순하게 생각해도 부산해경은 13개 해경서 가운데 조직규모가 가 장 방대하고 해상안전과 치안서비스 수요가 제일 높은 지역이며 지역 경찰서 가운데 가장 많은 업무처리로 직원들의 자부심 또한 높은 편이다.

비록 동해,서해,남해 각각 강원도 동해서와 전남 목포서,부산서가 동시에 지방청 신설의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부산해경은 기 대를 꺾지 않는다.
부산해경은 그러나 해양경찰청이 인천에 위치해 있는 바람에 다른 지역 경찰서와 마찬가지로 저평가돼 왔으며 일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제기돼 왔었다.

이 때문에 이번 해경청 기관 승격 이후 지방청 승격의 기대가 가장 클 수밖에 없는 것이 부산해경의 현실 .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달 말에는 당시 부산해경 서장이었던 조인현 서장이 총경에서 경무관으로 승진한다는 설이 나돌았다.

결국 조 서장은 지난달 27일 총경급인 해경청 혁신단장 겸 인사교 육담당관으로 인사발령을 받는 것으로 인사가 마무리 되자 설은 그야말로 풍문으로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해경청의 차관급 기관 격상에 따른 후속 인사조치로 연내 이뤄질 경무관 승진에는 수명의 총경급이 혜택을 입을 것이라는 설은 아직도 그 유효기간이 많이 남아있다.

조 서장의 경무관 승진설 등 장밋빛 전망이 어긋난 것도 속도조절 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도 나돈다.

해경의 조직확대를 위해 필요충분조건인 인력과 예산이라는 주요 변수를 좌지우지하는 행자부와 기획예산처 등에 괜히 점수를 깎일 까닭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러한 속도조절론의 배경.

어쨌든 대개 조용히 정년을 마치거나 규모가 작은 해경 서장으로 옮겨가던 지금까지와 달리 부산해경 서장이 다시 해경청 주요보직 으로 인사발령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다 경무관 승진발령 대상으로까지 손꼽히고 있어 지방청 승격 전망은 더욱 밝아지고 있다.

9월 중 시범운영을 거쳐 올해 안에 부산 신항만에 새로 설립될 광 역파출소도 무게를 더한다.

부산 신항만을 비롯해 태안 대천,여수 녹동,제주 서귀포,포항 후 포 등 5곳에 먼저 세워지는 광역파출소는 경감급을 소장으로 경위 급 부소장 3명 등 약 50~70명의 경찰관이 투입되며 이후 경찰서로 승격되는 것이 장기적 목표다.
부산해경 직원들은 이런 여러가지 상황들을 공개적으로 떠벌리기 는 주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지방청이 신설된다면 그건 당연히 부산일 것이라고 내심 기대를 굳히는 분위기다.

넘어야 할 산 하지만 아직 뚜껑은 열리지 않았다.
 
지방청 승격이 되기까지 부산해경이 헤쳐나가야 할 과제와 역할이 여전히 남아있고 최종결정권이 해경이 아닌 정부부처에 있는 이 상 믿을만한 결과가 나올때까지 그저 기다려야 하는 입장이기 때 문이다.

올 하반기 국무회의와 국회통과 등 필수적인 절차를 남기고 있고 11월로 예정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도 부담스 런 과제다.

또 해경청은 완전한 지방청 신설 이전에 지방청과 현재의 일선 서 를 1년여간 공존시키며 업무협력을 이어나가는 과도기적 형태를 거칠 방침이어서 정확한 시기는 여전히 미지수일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 해양정책에서 부산이 가지는 중요성과 이에 걸맞 은 업무수행 능력을 부산해경이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을 해경청과 각 정부부처에 확실히 각인시켜야 하는 숙제도 잘 끝마 쳐야 한다.

해양경찰청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