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유은영 기자] = 앞으로 부산시에서 발주하는 공공건축물 소방시설공사가 분리 발주된다. 이에 따라 하도급에 따른 저임금과 저급자재 사용 등 부실시공 문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소방안전본부(본부장 류해운)는 15일부터 ‘부산광역시 공공건축물에 대한 소방시설공사 분리발주 조례’가 공포돼 1개월 후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그간 소방시설공사는 건설공사와 함께 발주돼 소방시설공사업체에 하도급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하지만 분리발주 조례가 공포되면서 앞으로는 부산시가 설립한 공사나 공단, 시가 출자ㆍ출연한 기관 등 공공건축물에 대한 소방시설공사는 건설공사와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등과 별도로 발주된다. 하도급 없이 직접 소방시설을 시공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현재 부산시에 등록된 소방시설공사업체는 323개 업체로 이 중 건설과 전기, 통신을 겸업하고 있는 업체는 206개소(63.8%), 소방공사만 전문적으로 시공하는 업체는 117개소(36.2%) 정도다.
최근 3년간 전국 공공기관 소방시설공사 조사결과 소방시설공사업체들은 평균적으로 발주금액의 52% 정도로 하도급 받아 시공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품질이 낮은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해 소방공사의 분리발주 필요성이 강조돼 왔다.
부산소방안전본부 최혁 소방제도주임은 “우선 소방시설공사 분리발주 조례가 시행되면 공공건축물에 대한 소방시설의 품질시공으로 이어져 시민들의 안전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에는 반드시 법률에 반영돼 공공건축물 뿐 아니라 대한민국 모든 건축물에 적용돼야 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소방시설공사 분리발주 조례는 경기와 대구, 세종, 인천, 광주 등 5개 시ㆍ도에서 제정해 시행 중에 있으며 경남은 시의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해 공포를 기다리고 있다. 전남는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에 관한 조례에 분리발주 내용이 포함돼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