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제11호 태풍 ‘낭카’ 북상에 따른 대처상황(7.15)
- 현황(03시) : 일본 가고시마 동남동쪽 약 480km 부근 해상, 매시 22km(↓3)의 속도로 북북서진 중
※ 중심기압 : 955hPa(), 최대풍속 : 40m/s(), 강도 : 강(), 크기 : 중형()
- 전망 : 16일 22시경 일본 시코쿠 상륙 후 매시 15km 속도로 북북동진, 18일 03시 독도 동쪽 약 180km 부근 해상 진출, 이후 14km 속도 북동진, 18일 밤 저기압화 예상
- 주요 조치사항(7.15) *비상1단계 근무(7.14. 16:00~)
- 제11호 태풍 ‘낭카’ 북상 대비 2차 상황판단회의 개최(17:30, 재난관리실장 주재)
․(점검) 산림청 5개 시·도, 5개 유관기관과 재해취약시설 1,554개소 현장점검 실시
․(결과) 미흡사항 4건 지적, 현장 보완 조치
- 하상정비 불량(강원), 고장어선 육상인양(울산), 배수로 정비불량(부산교통공사, 철도공사)
▲ (감염병) 메르스 대처상황 * 최초 발생 ’15.5.20(‘주의’단계 발령)
- 확진환자 : 총 186명(사망 36명, 퇴원 133명 포함) * 전일 대비 퇴원 1명 증가
※ 치료 중인 환자 : 17명(안정적 13, 불안정 4) * 전일 대비 치료 중 1명 감소
- 격리자 : 258명(자택 232, 기관 26) * 전일 대비 64명 감소 / 해제자 16,432명
- 주요 조치사항(7.15)
- (대책지원본부) 지자체별 1:1 전담 관리제 운영(290명), 자원봉사활동43명(누계 42,648명),119구급대고열환자이송 167명(누계 9,169명),해상검역(해경) 16회(누계 1,934회)
▲ (선박화재) 라이베리아 국적 컨테이너선(24,724톤, 23명) 화재(7.10) 대처상황
- 현황 : 오륙도 동방 48해리 인근해상에서 화재 구난 작업 중 * 불꽃은 없이 연기만 발생
- 조치사항(7.15) : 선체 중앙부위 적재물(컨테이너) 화재 진화 중, 관계기관(해경, 부산해수청, 민간 4개 업체) 대책회의(16:00) * 3001함 안전관리 중(7.13. 18:07∼)
※ (19:25) 화재선박 자체 회의결과 이동 결정, 제주 정서방 35해리 태풍 피항차 이동
- 향후계획 : 3001함 통영·여수서 관할선까지 화재선박 안전호송 예정
▲ (요트충돌) 제주 서귀포시 마리나항 퍼시픽랜드, ‘요트 방파제 충돌’
- 12:20경 요트(24톤, 승선원 30명/선원 3, 어린이 3, 성인 24)가 너울성 파도에 밀려 방파제에 충돌, 승선원 구조 30명(경상 1, 진료 후 귀가 29), 해양오염(경유 150ℓ 유출) 방제조치 완료(14:35)
■ 재난안전 예방활동 및 훈련
▲ 국민안전처,「물놀이 안전관리 특별대책기간」운영(7.15~8.17)
- 안전사고 위험지역(54개 시·군·구, 138개소) 직원 전담관리제 시행, 물놀이 관리지역(1,697개소) 지정, 안전요원 배치, 안전시설 설치 및 안전교육 강화
▲ 국민안전처, 헬기 수상사고 대비 훈련(7.16~17)
- 중앙119구조본부, 헬기 승무원(조종사, 정비사, 항공구조대원) 대상 / 해상 추락사고 등을 가정하여 헬기 동체 탈출 등 생환(生還)훈련 실시
▲ 환경부,「화학안전정보 공유시스템」공개(7.15~)
- 화학물질안전원, 과거 화학사고 사례(연도·지역·원인별)와 ‘아차사고’ 우수대응 사례를 담은 시스템(http://csc.me.go.kr) 대외 공개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백만원)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일 계
|
87
|
0
|
1
|
201
|
1,329
|
252
|
4,107
|
4,186
|
누 계
|
25,153
|
155
|
1,055
|
169,515
|
168,862
|
47,661
|
864,742
|
886,562
|
❖ 가뭄지원: 3개시‧도 5시‧군 98회 622톤, 소방력 21명 32대 ➡ 식수(9톤), 생활(13톤), 농작물등(600톤)
❖ 생활안전: 1,164건 / 벌집제거 501, 위해동물포획 275, 갇힘사고 106, 전기‧가스안전 6, 기타 276
◇ 화재진압 활동
▲ (공 장) 경기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부광약품 제1공장(2/0), 1층』
- 07:54~08:23, 파손된 에탄올 용기를 타 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정전기에 의한 발화 추정
- 경상 1명(남/55세, 1도 화상), 2개동 4,271㎡ 중 1동 660㎡ 및 약품 등 소실(50백만원)
▲ (학 교) 서울 관악구『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센터(5/2) 나노입자 연구실(4층)』
- 16:47~16:57, 옥타데센**을 이용 화학합성 실험 중 온도제어기 고장으로 발화 추정
- 연구원 1명 자력대피, 벽체 5㎡ 그을림 및 실험기구 소실(120만원)
** 옥타데센(제4류제3석유류) : 나노입자 합성 유기용매제로 활용
▲ (복합건물화재) 광주 서구 농성동『다나메디컬센터 건물(12/1)』
- 20:04~20:28, 5층 발코니 환풍구 덕트 보온재에서 발화, 피해 조사 중
- 단순연기흡입 13명(의원 관계자2, 내원객11) 병원이송
* 지1층 주차장, 1~2층 금융업소‧사무실, 3~7층 다나메디컬센터, 9~12층 사무실
◇ 구조・구급 활동
▲ (안전사고) 경남 거제시 일운면『건축 공사장』
- 12:56, 공사 자재를 옮기던 크레인(5톤)이 중심을 잃고 도로 전신주(고압선)로 전도
- 고압선 단락으로 주변 301가구 정전(16:20 복구)
▲ (안전사고)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이화여대 하수도 배관 공사장』
- 14:27, 노후배관 보수 공사를 위해 굴삭기를 이용 지면을 파는 작업 중 작업인부가 미끄러져 구덩이 안으로 빠짐(가로2m×세로5m×깊이5m), 경상 1명(남/51세), 구조 후 병원이송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
|
주요 해양사고
(척/명)
|
오염방제
(건/유출량㎘)
|
나포
|
검문
|
차단․퇴거
|
일 계
|
0
|
0
|
0
|
10 / 95
|
1 / 0
|
누 계
|
209
(지도선 포함)
|
535척
|
3,630척
|
911 / 8,361
|
138 / 251㎘
|
◇ 해양사고
▲ (선박좌초) 서귀포, 중문 퍼시픽 랜드 앞 해상, 요트(1척) 좌초
-12:20, 요트(24톤,30명) 방파제 입구 암초에 좌초, 선체1/3파손, 중상1‧경상27
* 부표4개 설치 등 사전 작업완료, 만조시(09:48) 이초 작업 예정
▲ (선박침몰) 부산, 남형제도 남서방 11해리, 선박(1척) 침몰
- 23:34, 부산어통국 접수, 어선(89톤,9명) 전복후 침몰(EPRIB 발신), 인근어선 전원구조
▲ (어선사고) 인천ㆍ제주ㆍ완도, 기관고장 선박(3척) 예인 및 안전관리
- 13:01, 소이작도 북방 0.3해리, 어선(7.9톤,4명) 엔진과열, P100정 연안부두 예인
- 15:02, 차귀도 남서방 60해리, 어선(29톤,9명) 기관고장, 3002함 예인 중(ETA 16. 06:00)
- 16.03:30, 거문도 서방 8해리, 낚시어선(9.77톤,11명) 타기불량, 279함 안전관리, 선단선 예인 예정
▲ (레저사고) 보령, 기관고장 레저기구(1척) 예인
- 08:06, 대천항 서방 0.2해리, 모터보트(2.9톤,2명) 샤프트 파손, S07정 대천항 예인
▲ (추락자) 동해, 삼척 정라항 방파제 추락자(1명) 구조
- 08:52, 아들 신고, 산책중 실족(남,63세), 삼척센터․119 합동구조
▲ (변사자) 창원․군산, 변사자(2구) 인양
- 07:00, 거제 한내공단 앞 해상, 시민이 변사자(남,외국인) 발견, 고현센터 인양, 수사계 수사중
- 14:10, 연도항 방파제 인근, 선장이 변사자(남,68세)발견, P91정 인양, 수사계 수사중
▲ (응급환자) 완도․보령․목포․평택, 응급환자(6명) 이송
- 완도 소완도 외국인 근로자(남) 발작증세, 보령 삽시도 주민(여) 식사 중 쓰러짐, 목포 안마도 어선원(남) 양망 로라에 몸통 말림·자은도 주민(여) 다리골절, 평택 대산항내 어선원(남) 가슴통증·대난지도 관광객(여) 귀 2cm 출혈, 경비정 이송
7월 16일 09: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