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산하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채모집을 통한 기관장 또는 단체장 선발을 살펴보면 정부의 입김을 통해 소위 ‘낙하산 인사’가 자행되고 있어 해당조직의 발전보다는 정권의 전리품으로 전락하는 사례들이 늘면서 과연 현 정부가 국민의 정부로서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조직의 발전은 어느 한 개인의 노력만으로 성과를 거둬낼 수 없다. 구성원 모두가 합심할 수 있는 필사의 노력과 이를 위한 조직원들의 동기유발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익히 아는 내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증된 능력보다는 인맥과 로비가 우선되어 관련 인사들을 주요 요직에 안착시킨다면 한 평생 조직을 위해 충성을 다해온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인 박탈감을 안겨주고 전체 조직원들에게는 업무의욕을 상실케 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조직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된다.
그래서인지 항간에는 “고위공직자는 퇴직하지 않고 다만 재취업만 있을 뿐이다.” 라는 농담이 오고갈 정도로 우리 사회에 고질화된 병폐로 자리 잡고 있어 대한민국의 근간을 좀먹는 요인이 되고 있다.
물론 긍정적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운이 좋다면 전문성과 능력을 갖춘 인물을 영입해 자신이 속한 단체나 기관의 외풍을 막아줄 수 있고 이익을 대변해주는 로비스트로 활약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예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대부분 인맥을 타고 내려온 인사들은 윗선과의 마찰을 피하며 자리보전에만 연연할 뿐 굳이 부딪혀 조직을 보호하려고 나서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고위 공직자였던 인사들은 민간 기업이나 단체에서 버텨나가기가 어렵다는 후문이 따른다. 퇴직 후에도 과거의 신분을 벗어버리지 못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조직과의 융합에서도 전문성 부재로 자신의 입지를 인정받기가 어려워 조직의 그늘에 묻혀가는 신세로 전락한다는 것이다.
결국 공채라는 미명하에 당사자나 조직에도 도움이 안되는 일들을 정부 스스로가 나서 우리 사회의 근간을 흔들리게 하면서 능력보다는 인맥을 더 중시여기는 풍토를 낳고 있어 인재 선발에 보다 투명하고 엄선된 기준과 절차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