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공사는 국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해소해주겠다는 취지에서 소방분야 전문 기자들을 초청해 청운소방 abc 화재소화기 공개소화시험을 갖는 등 사태진화에 나섰지만 정작 공사에 대한 시선은 그리 곱지만은 않다. 네티즌들은 이러한 공사에 대한 태도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이라고 본지 데일리 뉴스 관련기사에 댓글로 일제히 비난과 성토를 퍼붓고 있다. 마우리 라는 닉네임을 사용한 한 뷰어는 “대한민국 소방관련법규에는 일반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제3종 소화기에는 제1인산암모늄을 사용하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저질 약제를 사용해 놓고 책임회피 하는 꼴”이라며 “당장 사과해라 불안해서 못 살겠다”라고 했다. 또 김삿갓 이라는 한 뷰어도 “지금과 같은 사고방식으로는 소방의 발전은 없다”고 전하면서 “60점짜리 검정만 받으면 팔리는 소방제품을 어느 누가 100점을 받기위해 투자를 하려 하겠는가..? 양심에 손을 얻고 각성하라”고 달았다. 또한 공사는 청운소방의 abc 화재소화기 공개소화시험을 통해 a급 화재 3단위 시험과 b급 화재 1단위 시험을 실시한다고 전언통신문을 통해 사전에 전달했지만 실제 b급 화재 성능시험은 이뤄지지 않았고 20%의 성능만 있다고 전달된 채 a급 화재 공개소화시험만 진행했다. 더욱이 불량소화기 배상과 관련해 소화기구팀의 한 관계자는 “공사는 제품만 검사해줄 뿐 성능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업체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공사는 검사에 대한 부분만 책임여부를 가리면 된다”고 답했다. 소화기를 유통하는 업계에서도 비상이 걸렸다. 소방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j씨는 “이유야 어찌되었건 국가의 검정기관인 검정공사가 검정을 해주었다면 제조사에서 법규에 맞지 않는 불량소화기를 유통시켰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책임은 국가가 져야하는 것이 아니냐?”라며 “더구나 pl법이 발효되었음에도 공사가 제품에 대한 개별검정을 시행해 왔다는 것만 보더라도 책임소재가 분명한데 판매를 한 업체들에게만 그 책임을 전가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에서는 소방산업이 발전을 하지 못하는 것이 검정공사가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팽배해 있다. 한 소방제조사에 근무하는 p씨는 “검정공사가 소방산업기술을 저해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아무리 뛰어난 제품이라도 검정규정이 없으면 사장되고 만다”며 “법이 기술을 따라가야지 기술이 법을 따라가는 지금의 제도는 2만불 시대를 열어가는 작금의 현실과는 동 떨어져 있다”고 분개했다. 한편 청운소방은 이번 불량소화기 사태에 대한 모든 것을 전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으로 본지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시중에 유통된 소화기들을 대리점들을 통해 수거할 계획이며 타사제품의 약제로 재충약 해주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중에 유통된 22만여 대의 불량소화기를 전량 수거해야 하는 어려움과 수거된 소화기를 재충약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이 따를 것으로 관측되며 청운소방의 대표자가 잠적한 상태여서 모든 것이 제대로 이행될지는 아직까지 미지수로 남아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