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화재 등 재난현장에서 순직하거나 부상을 입은 서울시 소방공무원이 296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지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각종 재난 사례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화재진압 및 응급활동 중 6명의 소방공무원이 순직하고 291명이 부상당했다. 특히 공사상을 당한 소방공무원은 2007년 51명, 2008년 61명, 2009년 47명, 2010년 64명, 2011년 73명으로 나타나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추락사고가 95명(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이송 중 부상이 49명(16.6%), 교통사고 37명(12.5%), 장비조작 및 무거운 짐 운반 중 부상 21명(7.1%), 낙하물로 인한 부상 15명(5.1%) 등의 순이다. 부상 부위별로는 허리가 가장 많은 82명(27.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리와 머리 부상이 각각 61명(20.6%)과 47명(15.9%)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소방공무원의 공사상을 줄이기 위해 지난 5일 ‘소방활동 위험예지훈련 도해집’을 발간하고 배포했다. 도해집은 공사상자의 실제 사고사례와 현장에서 직접 경험해 자칫 사고로 이어질 뻔했던 ‘아차사고’ 4,500여건을 수집ㆍ분석해 담고 있으며 이중 화재 및 구조ㆍ구급 등의 상황이 담긴 143건을 중심으로 위험 요인과 대처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는 공사상자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사례에 대한 안전수칙을 집중적으로 강조해왔으나 한권의 도해집과 영상으로 집대성된 일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소방재난본부 이상구 행정과장은 “재난현장에서 위험에 노출된 소방공무원들의 희생을 줄이고자 책자 발간을 계획했다”며 “교재용과 개인 휴대용 소책자, 동영상으로도 제작했으며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에도 배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