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도 “방사선보호복 10벌 중 6벌 내용연수 초과… 신속히 교체해야”원전 사고 시 착용하는 방사선보호복 62, 화학보호복(레벨A) 59% 노후화
[FPN 박준호 기자] = 원자력발전소 사고 시 소방관이 착용하는 방사선보호복 10벌 중 6벌이 내용연수를 초과했고 이를 대체하는 화학보호복(레벨A)도 절반 이상이 노후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전 사고에 대응하는 소방관서의 방사선보호복 125개 중 77개(62%)가 노후됐다.
방사선보호복의 내용연수는 5년이다. 이를 10년 이상 초과한 방사선보호복은 6벌, 5년 이상 4, 3년 이상 18, 2년 이상 43, 1년 이상 5, 1년 미만은 1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서별 노후율을 살펴보면 월성원자력을 담당하는 경주소방서가 보유한 방사선보호복은 모두 내용연수를 초과했다. 이어 울산 온산소방서 71%, 경북 울진소방서 70, 부산 기장소방서는 60%가 노후된 방사선보호복을 구비하고 있었다. 반면 전남 영광소방서의 방사선보호복은 모두 내용연수를 넘기지 않았다.
방사선보호복을 대체하는 화학보호복(레벨A)도 170벌 중 101벌(59%)이 내용연수를 초과했다. 화학보호복(레벨A)도 내용연수가 5년인데 이를 3년 이상 넘긴 보호복이 15벌, 2년 이상 47, 1년 이상 32, 1년 미만은 7벌이었다.
한병도 의원은 “현재 국내 원전은 24기가 운영 중인데 만약 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소방청은 노후된 방사선보호복과 화학보호복을 조속히 교체해 사고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