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건설업체 경영여건 최악, 대책마련 시급97년 이후 평균매출액 42.4% 급감 … 양극화 더욱 심화대한건설협회와 건설공제조합,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공동조사해 발간한 중소건설업체 경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건설업체들의 경영여건이 최근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중소 건설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지난 1997년 54억원에서 2010년 현재 31억원으로 42.4%나 감소했다. 반면 대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동기간 3.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가 더욱 심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07년부터 2010년 사이 중소 건설업체의 매출액 증가율은 6.3%에 그쳐 12개 업종 중 하위에서 3번째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 건설업체들이 최근 5년간 건설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7%p 감소했다. 보고서는 또 최근 건설경기의 급격한 위축에 따라 중소 건설업체들이 주로 참여하는 공공공사 중 적격심사대상 공사의 평균입찰경쟁률이 359:1에 이르러 입찰에 참여해도 수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2010년 한 해 동안 적격심사대상 공사를 1건만 수주한 중소업체가 91.3%에 달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며 전체 중소 건설업체의 8.5%가 1년간 기성실적이 전혀 없는 무실적 업체로 조사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권오현 박사는 중소 건설업체들의 이 같은 경영악화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권 박사는 “중소 건설업체들은 종합건설업체의 98.9%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소 건설업체에 종사하는 건설업 종사자는 전체 건설업 종사자의 55.9%에 달하고 전체 매출의 32.7%를 차지하고 있다”며 “국민경제와 건설산업에 있어서의 역할을 고려할 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권오현 박사는 또 “중소 건설업체들의 생존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입찰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방향을 조정할 필요성이 높으며 최근 경기가 최악임을 감안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제도 및 예산 등의 확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