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용산구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 중대본 가동(10.30.02:30, 본부장 국무총리) - 사고개요 : 10.29. 22:15경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핼러윈 인파가 해밀턴 호텔 인접 좁은 골목으로 밀려들면서 사고 발생 ※ 사고경위 조사 중 - 피해현황(11.7. 23시 기준) : 사상 353명(사망 156*, 부상 197**) * 내국인 130명, 외국인 26명/발인·송환 완료 148명(내국인130, 외국인18) ** 입원 19명, 귀가 178명 - 조치사항 : (중대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개최(11.7., 제1총괄조정관 주재) (경찰청) ’이태원 사고 유실물 센터(원효로 실내체육관)‘ 24시간 운영 기간 연장(11.1.~11.13. 20:00) (지자체) 합동분향소 3개소* 연장 운영 * 용산(~11.12.), 경기(~11.9.), 수원(~11.9.) - 향후계획 : 사고·재난 대비 다중이용시설 등 긴급 안전점검* 실시(11.10.~12.9.), 이태원 사고 피해수습 지원,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후속조치 추진 * 중앙·지자체 등 기관별 지역축제, 공연장·경기장, 연안여객선, 전통시장 등 점검 실시
▲ 서울 영등포구 열차 탈선 대처상황 - 사고개요 : 20:52경서울 영등포구 신길역~영등포역 구간(영등포역 300m 이전 지점)에서 무궁화호*가 영등포역 진입 중 궤도 이탈 발생 * 제1567 무궁화열차 : 용산(20:45)→익산(00:26)/디젤기관차 1량+객차 5칸+발전차 1칸/승객 275명 - 피해현황 : 경상 34명(병원이송 21명*, 13명 자력내원) * 20명 귀가, 1명 입원 중 ※ 11.6. 열차 99대 지연(고속열차 72, 일반열차 27), 11.7. 열차 236대 지연(고속열차 191, 일반열차 45(17시 기준)) - 조치사항 : (국토부) 철도안전감독관 파견, 복구현장 점검(2차관, 11.7.), 사고원인 조사(철도안전감독관, 철도사법경찰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한국철도공사) 이탈 차량 기중기로 선로에 안착(11:27), 운행 재개(17:30)
▲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발생현황(11.7.0시) : (신규사망) 18명전일동일 (재원 위중증) 365명전일19↑ (신규입원) 122명전일21↓ (신규확진) 18,671명전일18,004↓/전주167↑(국내18,611*, 해외60) ※ 누계 : 사망 29,390명(치명률 0.11%), 확진 25,856,910명 / * 수도권 10,768명, 비수도권 7,843명 - 예방접종(11.7.0시) : 11,303명(1차516, 2차561, 3차4,984, 4차5,242) ※ 누계 : 1차45,122,610명(인구대비87.9%), 2차44,692,654명(인구대비87.1%), 3차33,668,884명(대상자대비75.4%), 4차7,557,634명(대상자대비38.2%) - 조치사항 : (복지부) 겨울철 재유행 대비 의료 대응체계 점검 ※ 호흡기진료센터(14,026개소) 및 원스톱 진료기관(10,252개소) 시·공간 분리 없이 호흡기 유증상자 즉시 진료 추진(10.20.~), 지역 병·의원에서 쉽고 편리하게 진료·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속 점검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11.7.) : (양돈) 없음 (야생멧돼지) 1건(충주 1) ※ 확진(누계) : 양돈27건(경기11, 강원11, 인천5), 야생멧돼지2,687+1건(강원1,688, 경기674, 충북262+1, 경북63) - 조치사항 : (지자체) 방역시설 설치 독려 및 방역 조치사항 집중점검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2.10.12.~) - 발생현황(11.7.) : (가금) 없음 (야생조류) 1건(경주 1) ※ 확진(누계) : 가금7건(충북4, 경북2, 전북1), 야생조류12+1건(전북3, 경기2, 충북2, 경남2, 인천1, 충남1, 경북1+1) - 조치사항 : (농식품부) 철새도래지·소하천·소류지 주변 농가 소독강화
▲ 건조·안개 대처상황 ※ 피해·통제상황 없음 - 조치사항 : (행안부) 재난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NDMS) * (건조) 산불취약지 주‧야간 감시활동 강화 등 (안개) 취약구간 CCTV 활용 모니터링 등
▲ 주요사고 - (화재) ① 10:02경/경기 광주시 도청리/공장(전자기기 제조 4/0층, 3,658㎡) 내 에어컨 수리 중 원인 미상 가스 누출(추정)로 폭발·화재(완진 10:11, 자체진화)/사상 2명(사망 1명, 경상 1명), 건물(40㎡) 소실 등 ② 11:33경/제주 서귀포시 토평동/아파트(5/0층, 4,284㎡) 4층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2:53)/1세대(72㎡) 전소 등 ※ 인명피해 없음 ③ 22:13경/인천 옹진군/영흥도 진두항에 정박 중인 어선*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23:01)/선박 소실 ※ 인명피해 없음, 소방1단계(22:27~23:08) * 9.77톤, 영흥선적, 승선원 없음 - (교통사고) 21:59경/충북 괴산군 장연면/중부내륙선 괴산나들목 부근에서 대형화물차 3대 및 승용차 추돌(소통재개 11.8. 00:56)/중상 1명(심정지, 화물차 운전자), 경상 3명 - (화학사고) 12:48경/경기 파주시 월롱면/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 벽체 절단작업 중 커팅날이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이송배관에 닿아 배관이 일부 파손되면서 소량(5L) 누출(방제완료 14:40) ※ 인명피해 없음 * 사고대비물질(×),유독물질(○)/무색의 액체(증기밀도(Air=1)6.3)/위험성(0~4단계)(건강3, 화재3, 반응0) - (지진) 11.8. 00:45경/전남 여수시/거문도 남남동쪽 92㎞ 해역(깊이 8㎞)에서 규모 2.1 지진 발생, 최대진도 Ⅰ ※ 피해·유감신고 없음 - (산불) 2건* 발생(완진), 피해면적 0.11ha * 경남 진주(13:18~14:30/0.1ha/농부산물 소각), 경남 고성(14:03~14:50/0.01ha/용접불씨 비화)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환경부) 가을철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탐방로 통제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국립공원 탐방로 615개 구간 중 가을철 산불발생 위험도가 높은 115개 탐방로를 11.15.~12.15.까지 전면 통제* * 국립공원별 자세한 통제 탐방로 현황은 국립공원공단 누리집(knps.or.kr)에서 확인 가능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7회(산악구조1, 응급환자3, 화재진화1, 훈련비행2) / 4명(구조1, 구급3) ❖구급상황관리 : 3,859회(의료지도 454, 대국민상담‧지도 3,331, 이송병원선정 61, 헬기 3, 재외국민 10) ❖생활안전조치 : 582회(동물처리 156, 비화재보확인 165, 잠금장치개방 35, 안전조치 12, 기타 214)
◇ 화재진압 ▲ (주 택) 충북 단양군『○○번지 단독주택』 - 01:45~02:42, 주택 내부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사망 1명, 45㎡ 및 가재도구 소실
▲ (창 고) 전남 해남군『○○수산 창고』 - 01:47~07:00, 내부에서 원인 미상의 발화, 352㎡ 및 포장용 박스, 집기 등 소실
▲ (공 장) 경기 광주시『○○제조』 - 10:02~10:11, 에어컨 설비 수리 중 폭발화재, 사상 2명, 40㎡ 및 에어컨, 집기 등 소실
▲ (차 량) 강원 양양군『○○고속도로 분기점』 - 14:04~14:29, 버스 주행 중 브레이크 라이닝 과열 발화, 버스 전소
▲ (선 박) 인천 옹진군『○○항 계류 선박』 - 22:13~23:01, 어선 내부에서 원인 미상의 발화, 선박 3채 소실 및 그을음
11월 8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