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월부터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제공된다

복지부, 21개 시ㆍ군ㆍ구에 ICT 활용한 시스템 구축

광고
신희섭 기자 | 기사입력 2013/04/22 [09:59]

11월부터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제공된다

복지부, 21개 시ㆍ군ㆍ구에 ICT 활용한 시스템 구축

신희섭 기자 | 입력 : 2013/04/22 [09:59]
보건복지부(장관 진영, 이하 복지부)는 지난 10일 중증장애인 응급상황 발생시 이를 실시간으로 소방서 등과 연계하는 등 지역사회 기반의 응급안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해 9월이후 화재 등에 따른 중증장애인의 사망을 계기로 일상생활의 위험으로부터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상시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추진됐다.

시범사업의 내용을 살펴보면 중증장애인 가구에 화재 및 가스누출, 활동감지센서 등을 기본적으로 설치하고 일상생활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해 맥박센서와 CCTV를 설치해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대상지역은 사업참여 의향 및 지역사회 소방서 연계 등에 대한 지자체 수요조사와 장애인단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우선 서비스 대상인원이 50명 이상인 지자체 21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대상자는 상시 보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활동지원 수급자 중 독거 또는 취약가구 위주로 구성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6월부터 중증장애인 가구에 센서 등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9월 이후 21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거쳐 11월에는 본격적으로 응급안전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며 “1차 시범사업에 대한 수급자 만족도 및 효율성 등 결과를 평가해 대상자 및 지역 등 향후 사업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또 “이번 사업을 통해 화재ㆍ가스ㆍ응급구조 등 생활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보호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중증장애인의 안전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