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Ⅱ

광고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 최기덕 | 기사입력 2023/02/20 [10:30]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Ⅱ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 최기덕 | 입력 : 2023/02/20 [10:30]

<지난 호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이용한 무전기 착용법에 대한 의견

▲ [그림 1]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이용해 RSM의 코드를 방화복 안쪽으로 한 무전기 착용(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그림 1]의 진압대원들처럼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가죽제)을 이용해 무전기를 착용하면 첫 번째, 허리 아래에 위치한 무전기 파우치는 스트랩으로 대원에게 장착되고 등지게의 허리끈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대원의 몸통에서 더 멀리 위치하게 됩니다.

 

또 스트랩의 유연성 때문에 대원이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도 무전기의 안테나가 수직으로 위치해 무선 신호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상체를 세운 자세에서도 대원의 팔이 무전기 안테나 위를 덮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대원의 등지게 허리끈에 무전기를 직접 부착하는 방법이나 안테나를 몸통이나 가슴에 밀착하도록 착용해 무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체질량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 효과를 더 크게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무전기 파우치를 이용해 무전기를 착용할 때 좀 더 무선 신호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체질량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 효과가 크게 상관없을 수도 있겠으나 지하실 화재 현장에서 엎어진 자세로 쓰러진 소방관의 무전기가 0.01W의 출력을 지닌다면 무선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많이 감소됩니다.

 

두 번째, 무전기 파우치는 덮개를 열지 않고 채널선택, 볼륨조절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형 RSM의 경우 RSM 자체에서 볼륨조절과 채널선택이 가능합니다.

 

또 대원들이 기어 다니는 자세로 여러 장애물을 통과해 이동할 때 허리에 위치한 무전기 안테나와 방화복 상의 안쪽에 위치한 RSM 코드는 방화복 상의 주머니 속의 무전기보다 장애물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줄어 의도치 않은 무전기 이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 시 창문에 설치된 사다리로 긴급 탈출하는 상황에서도 파우치 속 무전기가 창문턱과 사다리 가로대에 걸려 탈출을 방해할 확률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무전기 파우치의 스트랩과 파우치 연결 부위는 가장 약한 부분으로 강하지 않은 충격에도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이 분리될 수 있다고 말하는 소방관도 있습니다. 

 

▲ [그림 2] 열 손상을 입은 무전기(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세 번째, 고열 환경에서 활동 중 RSM이 녹아 정상적인 기능을 상실할 경우 대원들은 허리 높이에 위치한 휴대용 무전기 본체의 PTT 버튼을 이용해(RSM을 우회해) 성공적으로 교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PTT 버튼이 눌린 상태(open mic situation)로 RSM이 고장 나면 RSM을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무전기 주머니에 위치한 무전기에서 RSM을 분리하는 것보다 허리 위치의 무전기 파우치에서 무전기와 RSM을 분리하는 게 더 쉬울 거란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상상황에서 나사로 고정된 RSM을 무전기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무전기를 직접 작동시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RSM 코드는 방화복 안쪽에 착용했을 때 고열에 대한 노출, 장애물과 얽힘으로부터 가장 잘 보호됩니다.

 

그리고 대원이 기어 다니는 자세가 아닌 서 있거나 무릎 앉은 자세에서 가슴높이(무전기 주머니)와 다리 높이(무전기 파우치) 차이(약 0.5m)의 온도 차가 현저해 무전기의 열 손상 정도 차이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무전기 파우치를 이용해 무전기를 허리 아래에 위치시켜 열에 대한 노출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됩니다.

 

▲ [그림 3] 패어팩스 소방관의 열 손상을 입은 방화복. 적색 화살표의 가슴 위치는 방화복의 탄화흔이 보이나 녹색 화살표의 바지 주머니 부분은 탄화흔이 관찰되지 않는다(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네 번째, RSM을 방화복의 목덮개 위치에 착용하면 무전기 본체 위치와 상관없이 중요한 무선 교신 장비가 가슴 부분에 위치하게 됩니다.

 

카라비너를 이용한 등지게 D링에 무전기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

카라비너를 이용해 등지게 D링에 무전기를 착용하면 첫 번째, 대원들의 자세에 상관없이 무전기 안테나가 수직으로 위치하며 무전기 주머니에서처럼 대원의 몸통에 무전기가 붙어 있지 않아 교신 신호손실에 대한 우려가 적어집니다. 

 

▲ [그림 4] 등지게(SCBA) D링에 무전기를 착용한 모습(출처 KBS)

 

두 번째, RSM이 무전기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RSM 코드가 화재 현장의 장애물에 걸려 RSM이 이탈하거나 무전기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 큽니다.

 

경험상으로도 RSM 없이 무전기만을 등지게에 착용해 로프 탈출이나 사다리 탈출, 장애물 극복 훈련 중 등지게에 착용한 무전기가 장애물에 걸리는 사건이 자주 발생했습니다.

 

또 대원 대부분이 무전기와 카라비너를 슬링으로 연결하고 있어 고열의 현장에서 직물 재질의 슬링이 녹아 무전기가 이탈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하지만 무전기의 볼륨조절과 채널선택 노브를 작동하기 위한 추가 작업(주머니 덮개를 여닫는)이 필요 없어집니다. 

 

▲ [그림 5] 비상탈출 훈련

 

세 번째, 무전기 자체의 방호 성능 이외에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나 무전기 파우치 등의 추가 방호 조건이 없어져 고열의 현장에서 무전기가 열 손상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네 번째, 중요 도구가 대원의 가슴에 위치해 비상상황 발생 시 대처가 쉬워집니다.

 

그래서 어쩌라고?!

진압대원의 안전과 통신은 같은 말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체계를 준비하는 것 또한 소방 조직 내에서뿐 아니라 진압대원들 스스로 생각해 봐야 할 문제입니다. RSM을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무전 교신을 할 수 있을 겁니다.

 

따라서 우린 휴대용 마이크의 필요성을 논해야 합니다. 그리고 왜 우리가 사용하는 방화복에 무전기 주머니가 있는지, 우리가 경험한 여러 화재 현장과 다양한 훈련 속에서 무전기 주머니 속 무전기가 어떤 위험성을 지녔는지도 고민해 봐야 할 겁니다.

 

무선 신호의 감소나 무전기의 이탈 가능성, 휴대용 마이크와 무전기의 열 손상 가능성, 중요 장비의 장착 위치 등 여러 요소 중 한 가지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 요소보다 여러 요소가 한꺼번에 초래하는 위험 요소는 현장 활동 중 우리의 안전도를 심각하게 떨어트릴 겁니다. 진압대원 개인의 안전이 보장된다면 화재 현장에서 활동하는 대원 모두의 안전도 보장되리라고 믿습니다. 

 

※ 2013년 미국의 패어팩스 소방국에서 작성한 지침에서는 이렇게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장애물과의 얽힘 문제, 무전기 이탈 문제가 감소되고 무선 신호손실이 개선되며 RSM이 보호되고 무전기에 대한 조작이 용이한 방법이 있다. (중략) 무전기 자체의 PTT 버튼을 눌러 손상된 RSM을 우회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휴대용 무전기를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사용해 방화복 상의 안쪽에 착용하고 RSM의 코드를 방화복 상의 안쪽을 통해 착용하라! 

 

하지만 우린 아직 대원들에게 화재 현장에서 휴대용 무전기를 어떤 방식으로 착용하라는 명확한 지침(규정)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없기 때문에 휴대용 무전기를 착용하는 방법에 관한 결정은 우리 자신의 몫일 겁니다. 

 


참고자료

1. Portable Radio Placement in the IDLH, Fairfax County Fire & Rescue Department Communications Section 1-2013.

2. NIST Technical Note 1477, Testing for Portable Radios in a Fire Fighting Environment.

3. NIST Technical Note 1850, Performance of Portable Radios Exposed to Elevated Temperatures.

4.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221 Standard on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Use of Emergency Services Communications Systems, 2002 Edition, Volume 11.

5. www.firefighterclosecalls.com의 How firefighters should carry their radios?, 2015.08.11., 기사

6. www.firerescue1.com의 How do you wear your radio on scene?, 2015.01.13., 기사

7. www.fireengineering.com의 Your Ability to Call a Mayday Depends on How You Wear Your Radio., 2015.10.01., 기사

8. 경북소방학교 최창모 교수님과의 개인 대화, 2022.10.31.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_ 최기덕 : smile9096@icloud.com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3년 2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관련기사목록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