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어느 선배로부터 “한 명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선 나의 목숨과 바꿔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당시엔 별다른 생각이 없었지만 지금 와 다시 생각해 보면 현장에서 화재, 구조, 구급 업무를 수행할 때 가장 우선시 돼야 할 부분은 체력이 아닌가 싶다.
매년 우린 6가지 종목(왕복 오래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악력, 배근력)의 체력을 평가받는다. 이런 종목에서 쓰는 근육과 체력은 우리가 마주하는 화재, 구조, 구급 현장과는 조금 다를 수 있다.
물론 이런 종목 등의 평가도 여러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지금까지의 소방 입직 시험과 매년 소방관 체력검정 평가에 적용되는 것일 테다.
하지만 외국 소방은 어떤가. 오래전부터 CPAT(Candidate Physical Ability Test) 프로그램을 적용해 체력평가를 진행한다. CPAT 프로그램은 계단 오르기, 호스 끌기, 장비 운반, 사다리 설치, 강제진입(망치 치기), 협소 공간 탈출, 구조대상자 끌기, 천장파괴 등 총 여덟 가지 종목으로 진행된다.
첫 종목 시작과 마지막 종목 종료까지의 기록을 측정해 평가한다.
사실 우리도 이와 비슷한 종목들을 지금껏 해오고 있었다. 어디서 했을까? 이미 짐작한 분도 있을 테다. 화재대응능력평가 1급을 교육받은 분들은 느낌이 왔을 거다.
이 평가 중 ‘개인역량평가’와 비슷한 종목이 다수 보인다.
‘개인역량평가’는 공기호흡기 조립ㆍ장착, 소방호스 전개ㆍ회수, 동력절단기 조작ㆍ기구 묶기, 구조대상자(마네킹) 운반, 사다리 운반ㆍ설치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뉜다.
세부적인 평가와 체력을 요구하다 보니 이 종목들을 모두 이행하고 나면 체력 고갈이 상당히 심하다.
그래서인지 체력 증진을 목적으로 각 시도 소방학교에서는 신임 소방교육 과정 중에도 이를 포함하고 주기적으로 평가ㆍ기록한다.
일부 소방학교에서는 신임 소방교육 성적에 반영하고 있다.
운이 좋게도 2021년 부산대학교 외 여러 대학에서 함께 진행한 소방관 체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당시 신임 교육생들과 같이 기초체력을 측정하고 이후 CPAT와 같은 종목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다소 쉬운 종목도 있었지만 측정이 진행됨에 따라 단계별로 힘든 종목도 있었다.
기초체력 측정은 중량 조끼(약 22㎏)를 착용하고 한발씩(30회) 스텝 박스를 오르 내리는걸 반복한 후 중량물을 들고 이동, 푸쉬업 등 여러 종목을 번갈아 가며 측정했다. 정확한 횟수와 종목은 기억나질 않는다.
CPAT 프로그램 종목은 앞서 여러 매체를 통해 소개됐던 거로 알고 있다. 다시 한번 정리해보면 우선 참가자들은 간편한 운동복을 입고 중량 조끼와 안전 헬멧을 착용했다. 각 종목 간의 구간에는 약 25m 거리를 둔다. 이때 피로를 방지하기 위해 종목 간의 구간에서 뛰는 걸 금지했다.
테스트는 총 8개 종목으로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계단 오르기 Stair Climb: StairMaster Step Mill(3분간 진행) 1) 어깨에 5.67㎏(12.5lb) × 2EA의 중량을 들고 Step Mill을 실행한다.
이벤트 시작 전 분당 50step의 속도로 20초 warm-up을 진행한다. 이때 Step Mill에서 떨어지면 다시 20초 동안 warm-up 시간을 가지며 두 번까지 다시 시작할 수 있다.
warm-up 20초가 끝나면 감독관의 “시작” 소리와 함께 테스트가 시작된다. warm-up 시간과 테스트 시작 사이에는 휴식 시간이 없다. 3분 동안 분당 60step의 속도로 Step Mill을 걷는다.
2) 이벤트가 끝나면 5.67㎏(12.5lb) × 2EA 중량을 제거하고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warm-up 시간 동안 Step Mill에서 세 번 떨어지는 경우 테스트에 실패한다. 테스트 중 균형을 잡기 위해 벽이나 난간을 잡을 수 있지만 장시간 벽이나 난간을 잡는 경우 경고를 받는다. 세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2. 호스 끌기 Hose drag & Pull 1) 길이 60m(200ft), 직경 65㎜ 65㎜인 소방호스의 끝부분 카플링을 잡는다. 검사자는 노즐로부터 2.44m(8ft) 표시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호스를 어깨나 가슴에 걸 수 있다. 배치된 드럼을 향해 22.86m(75ft) 호스를 끌어가고 드럼 주위를 90° 회전한 다음 추가로 7.62m(25ft) 호스를 끈다.
이때 검사자는 달릴 수 있다. 표시된 1.52 × 2.13m(5 × 7ft) 상자 내에서 멈춰 적어도 한 무릎을 바닥에 닿게 한 후 호스 라인의 15.24m(50ft) 지점이 표시된 선을 통과할 때까지 호스를 당긴다. 호스를 당기는 동안 적어도 한 무릎이 땅에 닿아 있어야 하며 무릎은 표시된 경계선 안에 위치해야 한다.
2)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드럼 주위를 90° 회전하지 않거나 표시된 경로를 벗어나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상자 뒤로 두 걸음 더 딛는 경우 테스트에 실패한다. ※ 한쪽 무릎이 땅에 닿지 않으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무릎이 경계선 밖으로 나가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3. 장비 운반 Equipment Carry 1) 캐비닛에 있는 장비 두 개를 한 번에 하나씩 바닥에 내려놓는다. 두 개의 장비를 양손에 하나씩 들고 22.86m(75ft) 걸은 후 드럼통을 돌아서 22.86m(75ft)를 걸어 시작지점으로 돌아온다.
이동하는 동안 장비를 바닥에 내려놓고 그립을 조정할 수 있다. 캐비닛으로 돌아오면 장비를 바닥에 내려놓고 하나씩 들어 캐비닛의 지정된 공간에 넣는다.
2) 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장비운반 중 장비를 떨어뜨리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운반 중 뛰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4. 사다리 설치 Ladder Raise and Extension 1) 7.32m(24ft) 사다리의 제일 윗단으로 이동한다. 경첩이 없는 사다리의 끝부분을 들어 올려 사다리가 벽에 고정될 때까지 가로대를 한 손으로 한 칸씩 밀어 올린다. 사다리가 벽에 고정되면 옆의 확장 사다리로 이동한다.
91.44 × 91.44m(36 × 36inch)로 표시된 박스 안에 두 발을 위치시키고 두 손을 번갈아 사용해 사다리를 확장시킨다. 사다리가 끝까지 확장되면 다시 두 손을 번갈아 사용하며 사다리를 내린다.
2) 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사다리를 올리는 동안 가로대를 놓치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사다리를 놓쳐 사다리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안전장치가 작동하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사다리를 확장ㆍ하강하는 동안 발이 표시된 경계선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손을 교차로 사용하며 사다리를 제어하지 못하거나 사다리 줄을 미끄러지게 하는 경우 테스트에 실패한다.
5. 강제진입(망치 치기) Forcible Entry 1) 4.54㎏(10lb) 망치를 사용해 버저 신호가 울릴 때까지 측정 장치를 친다. 두 발이 Toe-box 바깥에 위치해야 한다. 버저가 울리면 망치를 땅에 내려놓는다.
2) 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망치를 스윙하는 동안 제어하지 못하고 양손에서 놓치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Toe-box 안으로 발을 들이게 되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6. 협소 공간 탈출 Search 1) 높이 91.44㎝(3ft), 너비 121.92㎝(4ft), 길이 19.51m(64ft)의 터널 미로를 두 번 90° 회전하면서 기어간다.
터널의 여러 위치에서 장애물 위, 아래를 탐색해야 하고 두 곳에서 터널의 크기가 줄어든 공간을 기어가야 한다. 어떤 이유에서든 테스트 종료를 원할 땐 검사자를 부르거나 벽 또는 천장을 세게 치면 벗어날 수 있다. 미로를 모두 빠져나가면 이벤트가 종료된다.
2) 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탈출구를 열거나 입ㆍ출구 덮개를 열어 달라는 탈출 도움을 요청하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7. 구조대상자 끌기 Rescue 1) 74.84㎏(165lb) 마네킹 어깨에 달린 손잡이를 잡고(한 손이나 두 손 모두 허용) 마네킹을 끌어 10.67m(35ft) 이동한다. 배치된 드럼(고깔)을 180° 회전해 표시된 지점까지 다시 10.67m(35ft) 이동한다.
마네킹이 드럼에 닿는 건 허용되지만 참가자가 드럼을 잡는 건 금지된다. 마네킹을 바닥에 내려놓고 그립을 조정할 수 있다. 마네킹 전체가 표시된 지점을 통과해야 한다.
2) 이벤트가 끝나면 다음 이벤트 장소로 25.90m(85ft)를 걸어간다. ※ 참가자가 드럼을 잡으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8. 천장파괴 Ceiling Breach & Pull 1) 장비에 걸려 있는 1.8m(6ft) 폴을 빼내어 힌지가 설치된 천장의 폴 끝을 배치한다. 참가자의 두 발은 장비 내에 위치해야 한다. 폴을 사용해 천장에 있는 27.21㎏(60lb)의 천장을 3회 완전히 들어 올린다. 그다음 36.28㎏(80lb)의 천장에 폴 끝을 걸고 다섯 번 아래로 당긴다.
한 세트는 천장 밀기 세 번과 당기기 다섯 번으로 구성되며 총 4세트 진행한다. 필요한 경우 동작을 멈추고 그립을 조정할 수 있다.
반복 동작을 성공하지 못하면 감독관은 “MISS(다시)”를 외치며 참가자는 이를 성공하기 위해 천장을 다시 밀거나 당겨야 한다. 4세트가 끝나면 감독관의 “TIME” 소리와 함께 테스트가 종료된다.
※ 폴을 바닥에 떨어뜨리면 경고를 받는다. 폴을 떨어뜨리면 감독관의 도움 없이 폴을 집어 들고 이벤트를 ※ 재개해야 하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 발이 장비 밖으로 벗어나면 경고를 받으며 두 번째 경고를 받으면 테스트에 실패한다.
지금까지 CPAT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봤다. 이런 체력프로그램을 소개한 이유는 2027년부터 소방 체력평가가 남녀 모두 CPAT 방식의 순환식 종목으로 변경된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이런 종목들을 대비하고 체력을 단련한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거로 판단된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제복을 입은 공무원(군인, 경찰, 소방 등)이라면 체력평가가 필수다. 게다가 우리 직업 특성상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혼자가 아닌 팀으로 움직인다.
체력에 대한 화재진압대원의 기준, 구조ㆍ구급대원의 기준 등을 확실히 해 화재, 구조, 구급대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다. 물론 나이에 따른 보정치는 적용해야겠지만 말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재난 사고 현장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우린 부끄럽지 않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부산 강서소방서_ 최광현 : alockh@korea.kr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5년 4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방관으로서 체력은 얼마나 중요할까?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