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지속되는 폭염으로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는 요즘 전기 관련 화재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그중 관심있게 보게 되는 내용은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일명 PM 관련 화재 소식이다.
PM은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제 어딜 가든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 내에서도 충전을 하는 등 우리의 일상에 깊게 들어와 있다. 하지만 부주의하게 사용돼 화재를 초래하고 인명ㆍ재산피해로까지 이어지는 안타까운 경우가 있다. 편리한 물건이 왜 이렇게 위험한 물건이 되고 있는 것일까?
PM을 비롯한 휴대폰 등 여러 휴대기기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 등의 장점이 있어 다른 종류의 배터리보다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열폭주 개시 온도가 낮아 과충전,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셀이 과열되면 쉽게 발화하는 단점이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순간적으로 고온의 화염과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대형 피해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부주의로 인한 충격ㆍ과충전 등으로 화재가 발생해 위험한 물건으로 인식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이런 단점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첫째, 안전한 제품을 사용하자. KC인증을 받은 정품 배터리와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유사제품이나 개조된 배터리ㆍ충전기 사용은 화재 위험성이 높다. 외관을 확인해 손상이 있거나 열기가 느껴지고, 누액이 흐르는 것이 발견되면 사용하지 말고 즉시 폐기해야 한다.
둘째, 충전 중 관심이다. 문어발식 콘센트에 충전하는 것을 자제하고 수시로 충전 상태를 확인해 이상 발견 시 즉시 배터리를 분리해야 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곧바로 전원을 차단해 보관하고 외출이나 수면 중 충전은 지양한다.
마지막으로 충전 장소 주변을 확인하자. 개방된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서 충전하는 게 가장 안전하겠지만 부득이하게 가정 내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 주변에 불에 잘 타는 물질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한 장소에서 충전하자. 또한 현관문이나 비상구 근처에서 충전하지 말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로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거나 사용 중 배터리가 부풀어오르면서 연기가 나는 등 이상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배터리 사용을 중지한다. 가능하다면 가연물이 없는 곳에 놓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한 후에 119에 신고하자.
리튬이온 배터리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전기자전거, 블루투스 헤드폰, 장난감 등 일상의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의 작은 관심이 대형 피해를 막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배터리 사용 시 주의사항을 기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자.
인천서부소방서 가좌119안전센터 소방위 박귀성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