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낚시어선 전복사고 대처상황(9.15)
- 발생개요 : 9.5. 20:40경(신고), 제주 추자도 신양항~전남 해남군 남성항 해상에서 낚시어선(돌고래호, 9.77톤, 해남선적, 승선원 21명 추정) 전복
- 인명피해(잠정) : 구조 3명(입원중), 사망 12명, 실종 6명(수색중)
- 주요 조치사항
- (국민안전처) 중앙구조본부 구성‧운영(9.5~), 실종자 가족 수색현장 방문 지원 등
- (해수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가동(9.6~), 유족지원반 제주시 파견(9.10~)
- (지자체) 전남도‧해남군 사고수습본부, 부산시 사고수습지원본부 및 제주도 사고대책반 운영(9.6~), 장례 등 유가족‧실종자 가족 지원
- 동원현황(9.15) : 함선 80척(해경 26, 해군 5, 관공선 8, 어선 41), 항공기 9대(해경 5, 해군 2, 공군 1, 경찰 1), 해안가 수색 747명, 수중수색 59명(해경 42, 해군 17)
※ 야간수색 동원현황 : 함선 16척(해경 12, 해군 2, 관공선 2), 항공기 2대(해경 1, 공군 1) * 조명탄 66발(공군 56, 해경 10) 투하
- 수색계획(9.16) : 함선 88척(해경 26, 해군 5, 관공선 8, 어선 49), 항공기 10대(해경 5, 해군 3, 공군 1, 경찰 1), 해안가 수색 837명, 수중수색 38명
※ 현지 기상 불량(황천4급설정)으로 중소형 함선 72척(해경 16, 해군 3, 관공선 4, 어선 49) 수색투입 유동적
▲ 적조 대처상황(9.15) * 최초경보발령 : 적조생물 출현주의보(8.2) / 적조주의보(8.5) / 적조경보(8.13)
- (적조경보) 전남 완도군 보길도∼경남 거제시 지심도
(적조주의보) 전남 진도군 조도면∼완도군 보길도, 경남 거제시 지심도∼울진군 나곡리
※경남 거제시 지심도∼경북 포항시 지경리 해역의 적조경보를 적조주의보로 대체(9.15)
- 어업피해(일계/누계) : 없음 / 71가구 189.6만마리 2,531백만원
- 대처상황 * 해수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운영(8.13~)
- (국민안전처) 비상근무, 적조 예찰 및 방제(항공기‧함정 등)지원
※예찰활동(33회/누계 1,321회), 긴급방제 지원(누계 함정 127척, 1,038명)
- (지자체)적조상황실 운영, 긴급방제(울산, 전남, 경북, 경남) 및 예찰(부산) 실시
※방제실적(일계/누계) : 황토살포 513톤/75,101톤, 선박 116척/15,927척, 인력 355명/35,891명
- 향후전망 : 남해서부(완도∼고흥) 해역의 적조는 점차 약화되면서 수온이 하강하는 9월말까지 소규모 적조가 국지적으로 지속 예상
▲ (AI 의심축 발생) 전남 강진, 나주 육용오리 AI 의심축 발생에 따른 위기단계 변경
- 발생개요 : 육용오리 도축 출하 전 검사에서 H5형 AI 양성판정(9.14)
- 위기단계 조정(9.15) (현재) 관심 → (변경) 주의
- 조치상황
- (국민안전처) BH·국무조정실 및 국민안전처 소관 부서 등에 상황 전파(19:09)
- (농식품부) 농식품부 검역본부 정밀검사 중, 중앙기동 점검반 점검 실시
- (지차체) 전남도 및 강진·나주 상황실 24시간 운영, 신고농장 이동통제, 소독 등 방역 강화
■ 재난안전 예방활동
▲ 국민안전처, 2016년 7월부터 20개 신고전화 112·119·110으로 통합
- 한국형 긴급 신고전화 통합체계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공동관리센터 구축, 공동대응체계 구축 등 세부추진방안을 확정
* 현행 20개 신고전화를 ‘범죄신고 112번, 재난신고 119번, 비긴급 신고 및 상담 110번’으로 통합하는 사업으로 어느 번호로 신고해도 긴급 신고기관 사이에 실시간으로 공유
▲ 국토교통부, 다중이용 건축물 적용 대상, 1천㎡ 이상으로 확대
- 다중이용 건축물의 규모 기준이 5천㎡→1천㎡로 확대되고 시공시 상주감리로 강화, 6층 이상의 건축물은 불연성 재료로 시공토록 건축법 시행령 개정
- 노인요양시설 화재 예방 위해 층별 대피공간 설치, 직통계단 2개소 이상 설치
* 마우나리조트 붕괴(’14.2), 장성요양병원 화재(’14.5), 의정부 화재사고(’15.1) 등 각종 사고의 재발방지 위해 화재·구조 안전관련 기준 정비하기 위함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백만원)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일 계
|
114
|
1
|
2
|
397
|
1,819
|
306
|
4,074
|
4,180
|
누 계
|
32,564
|
185
|
1,288
|
312,230
|
288,663
|
68,040
|
1,156,499
|
1,187,536
|
❖ 생활안전: 1,944 / 벌집제거 1,371 위해동물포획 255, 갇힘사고 87, 전기‧가스안전 13, 기타 218
◇ 화재진압 활동
▲ (상가) 광주 북구 용봉동『○○빌딩(5/1) 1층』
- 10:39~10:48, 분전반에서 발화, 경상1명(남/42세), 20㎡ 및 분전반 소실(7백만원)
▲ (식당) 서울 강남구 논현동『○○빌딩(5/1) 1층』
- 12:23~12:43, 에어컨 실외기에서 발화, 20㎡ 및 집기류 소실(20백만원)
▲ (주택) 경기 평택시 신장동『근린생활(3/0) 3층』
- 17:29~18:05, 안방에서 원인미상 발화, 82㎡ 및 가재도구 소실(65백만원)
◇ 구조・구급 활동
▲ (교통사고) 대구 동구 아양로『큰고개성당 인근』
- 14:05, 승용차가 버스와 추돌 후 변압기 충돌, 경상1명(남/83세), 응급처치 병원이송
▲ (수난사고) 서울 서초구 반포동『반포대교』
- 14:35, 다리 중간 부근에서 투신, 구조1명(남/27세), 인명구조 후 응급처치 병원이송
▲ (교통사고) 충북 충주시 루암리『신촌삼거리』
- 15:53, 시내버스와 1톤 트럭 추돌, 경상9명(버스8,트럭1), 응급처치 병원이송
▲ (교통사고) 강원 평창군 미탄면 기화리『한탄5교 아래』
- 19:46, 1톤 트럭이 다리(5m) 아래로 추락, 부상 3명(사망1,경상2), 응급처치 병원이송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
|
주요 해양사고
(척/명)
|
오염방제
(건/유출량㎘)
|
나 포
|
검 문
|
차단․퇴거
|
일 계
|
0
|
0
|
0
|
8 / 54
|
0 / 0
|
누 계
|
222
(지도선 포함)
|
561척
|
4,120척
|
1,230 / 10,654
|
189 / 393㎘
|
◇ 해양사고
▲ (좌주․좌초) 목포․창원, 좌주․좌초 선박(2척) 안전조치
- 05:39, 시하도 해상 화물선(1,868톤,9명) 좌주, 예인선 동원 이동․자력 입항, 경비정 4척 안전관리
- 12:38, 거제 망와도 해상 어선(1.9톤,3명) 좌초, P01정 동원 이초(파공없음), 자력 입항
▲ (선박예인) 목포․보령․울산․포항․인천․서귀포, 선박(6척) 예인
- 04:28, 가거도 남서 52해리, 어선(29톤,7명) 스크루 어망감김, 1509함 가거도 예인
- 10:58, 원산도 해상, 모터보트(2.5톤,3명) 기관고장, 서부센터 구조정 오천항 예인
- 12:30, 방어진 북동 50해리, 어선(29톤,8명) 스크루 어망감김, 300함․선단선 방어진항 예인
- 14:45, 정자 동방 43해리, 어선(21톤,8명) 기관고장, 301함 감포항 예인
- 15:23, 덕적도 서방 6.6해리, 어선(4.9톤,4명) 방향키 조종불능, 119정 덕적도 예인
- 19:09, 강정항 해상, 어선(9.7톤,7명) 스크루 씨앵커 감김, 506함 서귀포 예인
▲ (실 종 자) 통영, 욕지도 남동 4.7해리, 베트남선원(1명) 실종
- 21:34, 어선원(남,21세,베트남) 실종, 함정 2척 수색중
▲ (응급환자) 보령․여수․완도, 도서지역 응급환자(3명) 이송
- 12:41, 오천면 장고도 주민(여,36세) 머리부상, P68정 이송
- 20:01, 고흥군 애도 주민(여,75세) 의식혼미, 나로도센터 순찰정 이송
- 20:31, 소안도 주민(남,64세,당뇨) 호흡곤란, P51정 이송
9월 16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