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정부, 3,842억 규모 TRS 구축 사업 착수

오는 2009년 전국 단위의 TRS 통합재난대응체제 갖춰

광고
노재붕 기자 | 기사입력 2006/11/27 [11:56]

정부, 3,842억 규모 TRS 구축 사업 착수

오는 2009년 전국 단위의 TRS 통합재난대응체제 갖춰

노재붕 기자 | 입력 : 2006/11/27 [11:56]
정부가 총 3842억원 규모의 국가 통합지휘무선통신망(trs)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방방재청은 최근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한 trs 구축 1단계 사업을 발주하고 입찰을 거쳐 유럽표준 주파수공용통신방식(테트라)을 제안한 kt(대표 남중수)를 사업자로 최종 선정했다.
 
1단계 trs는 서울·경기지역과 고속도로 신설구간에 테트라 trs 장비 설치 및 재배치를 통해 최적의 통신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내년 9월까지 총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주제어장치와 기지국 80여대 그리고 보조 중계기 90여대가 설치된다.
 
trs 1차 사업을 완료하는 내년에는 도서 및 농어촌지역을 포함, 전국 규모로 trs를 구축하는 2단계 사업을 발주한다. 총 2100억원 사업 규모로 정부 재정의 직접투자가 아닌 민간투자방식인 ‘btl(build transfer lease)’이 도입된다.
 
정부는 1·2단계 trs를 통해 국가기관(11)·자치단체(250)·공공기관(19) 등 280여개 기관에 디지털 trs를 구축하고 테트라 단말기 17만3553대를 비롯해 교환기10식, 기지국 808식, 일제지령대 41식 등 도입, 설치할 계획이다.
 
오는 2009년 전국 단위의 trs가 도입되면 소방·경찰·군·의료기관·민방위 등 재난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trs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일사불란한 지휘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전화 출동차량 모바일시스템·휴대폰 긴급재난문자방송시스템·위치정보시스템 기능도 개선된다.
 
통신장비 업체 관계자는 “지난 2∼3년 우여곡절을 겪기는 했지만 정부가 trs 구축 본사업에 착수한 것은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소방·방재 분야가 디지털 trs는 물론이고 메시 네트워크, 전자태그(rfid) 등 차세대 무선통신 솔루션의 황금 수요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TRS 관련기사목록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