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서울에서 공동주택(아파트) 화재 발생건수가 04년에 비해 12.8% 증가했고 01년 대비 20.5% 감소해 매년 4.5% 가량 감소하고 있으며 인명피해는 매년 평균 사망자가 18.8%, 부상은 2.8%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 주택형태가 대피로나 피난 공간 부족하고 발코니 확장 및 가연물 적재가 빈번한기 때문에 창문과 창문의 화재전파 우려가 크며, 대부분 주방이 출입구쪽에 위치 해 화재시 반대편인 발코니로 대피하나 발코니 확장 및 적재물로 인해 피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것이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70~80년대의 노후된 건축물의 발코니는 대부분 보일러를 설치하거나 다용도실, 창고 등으로 사용 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위험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통로 확보 부족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소방차 및 구조대 도착이 지체 되면서 인명피해 발생률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본부 대책으로 지난해 12월 27일부터 1월 12일 까지 서울 시내 5,140단지 18,058동에 소화기 관리 상태, 피난장애, 소방시설 관리 여부들을 중점으로 점검하는 ‘특별 소방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화재 시 연소확대저지를 위한 ‘직결식 간이 스프링클러설비’와 발코니 난간부분이나 바닥에 홈을 만들어 사다리를 설치하는 피난기구 설비를 권장하고 있다. 이 중 발코니에 있는 수도꼭지에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연결해 손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연소확대저지에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소방출동로”가 “생명도로”라는 공감대를 형성시켜 불법 주정차에 대한 강제처분(경고→과태료ㆍ벌금ㆍ견인)등으로 단속활동을 강화하고 “소방출동로 우수아파트”를 선정해 홍보함으로서 공동주택 단지별 자체 초기진압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5층 이상의 공동주택 화재시 서울종합방재센터에서 현장 인근 레카차를 출동시켜 단지별 최단거리 출동로를 확보하고 다양한 인명구조 방법 및 구조 매뉴얼을 작성 운영해 인명피해 최소화에 최선의 방안을 강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