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발생현황(6.30.0시) : (신규사망) 10명전일3↑ (재원 위중증) 54명전일5↓ (신규입원) 54명전일12↓ (신규확진) 9,595명전일868↓/전주2,102↑(국내9,453*, 해외142) ※ 누계 : 사망 24,547명(치명률 0.13%), 확진 18,359,341명 / * 수도권 5,195명, 비수도권 4,258명 - 예방접종(6.30.0시) : 2,613명(1차294, 2차638, 3차1,681) ※ 누계 : 1차45,067,797명(인구대비87.8%), 2차44,627,671명(인구대비87.0%), 3차33,369,170명(접종대상자대비75.0%) - 조치사항 : (식약처) ① 첫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의약품 ‘이부실드주’ 2만 회분 긴급사용승인 ② 코로나19 치료제 안전성·유효성 심사 질의·응답집 발간
▲ 6.28~7.1일 호우·강풍 대처상황 ※ 중대본해제(7.1.03:00) - 피해현황(잠정) : (인명) 사망 2명* (공공시설) 265건** (사유시설) 침수 195건(주택 73, 상가 22, 차량 100), 주택지붕·담장옹벽 붕괴 9건, 농작물 침수(2,916.5㏊), 낙과(8.7㏊), 농경지 유실·매몰(1.2㏊), 비닐하우스 파손(1㏊) 및 침수(20동) * 충남 공주시에서 무너진 처마에 1명 압사(추정), 경기 용인시 건설현장에서 작업자 1명 익사 ** 도로침수 161건, 수목전도 67건, 토사유출 35건, 유실 3건(사면 1, 교량 1, 제방 1), 지반침하 1건 - 통제현황 : (여객선) 3개 항로 5척 (국립공원) 5개 공원 149개 탐방로 ※ (기타 통제) 하상도로 9개소, 교량 1개소, 세월교 63개소, 지하차도 1개소, 둔치주차장 32개소, 하천변 산책로 48개소 - 조치사항 : (국조실) 피해예방 및 행동요령 적극 안내 등 지시*(총리, 6.30.) * 취약지역 점검 및 대피안내 강화, 도로 통제 등 신속 안내, 호우 종료 후 신속한 응급복구 실시 (중대본) 집중호우 피해예방 지시*(본부장, 6.30.) * 신속한 응급복구로 추가 피해 예방, 인명피해 우려 지역 통제 철저, 위험지역 긴급점검 및 인명피해 우려 시 신속 대피 (농식품부) 집중호우 피해 및 대처상황 점검회의 개최(6.30) ※ 배수장 53개소 가동(경기 33, 충북 3, 충남 14, 전북 1, 경남 2) 중, 저수지 14개소 방류(경기 9, 강원 5) 중 (소방청) 인명구조 17건*(31명), 안전조치 870건(주택 299, 도로장애 220 등) * 주택 침수 6건 18명, 차량 침수 10건 11명, 하천 고립 1건 2명 (지대본) 비상근무(11,341명), 예찰활동(5,225개소), 홍보활동 등
▲ 폭염 대처상황 ※ 위기경보 ‘주의’(’22.6.20.~) - 인명피해(6.29.) : 온열질환 6명, 사망 없음 ※ 질병관리청(온열질환응급실감시체계) ※ 누계(5.20.~6.29.) : (’22년) 온열질환 206명, 사망 없음/(’21년) 온열질환 118명, 사망 2명 - 재산피해(6.30.) : 가축 32천 마리(닭 31, 돼지 0.5, 오리 0.3 등) 폐사 - 조치사항 : (행안부) 인명피해 예방 폭염대책 추진 및 상황관리 이행철저 통보(지자체), 야외근로자 온열질환 특성 자가진단표 홍보(문체부·대한건설협회 협업) (산업부)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 발표 * ①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9.2GW의 추가 예비자원 확보, 공공분야 수요관리 등 대책 총동원 추진②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7.4.~9.8.) 지정 및 ‘전력수급 종합상황실’ 운영 (지자체) 비상근무(1,316명), 무더위쉼터 운영(26,733개소), 취약계층 방문(23,834회) 및 전화(79,904회), 예찰활동(197회) 등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6.30.) : 양돈 및 야생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 양돈22건(경기9, 강원8, 인천5), 야생멧돼지2,635건(강원1,667, 경기674, 충북246, 경북48) - 조치사항 : (농식품부) 집중호우 시 농장의 ASF 오염원 유입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방역관리 강화 추진
▲ 녹조 발생 현황 - 경보발령 : 조류경보제 구간(29개소) 중 관심(1개소), 경계(3개소) 발령* * 관심 : 낙동강 해평(6.16.)/경계 : 낙동강 강정·고령(6.23.), 물금·매리(6.23.), 칠서(6.30.) - 향후전망 : 강우량이 적고(1㎜ 미만), 낮 기온(30~31℃)이 지난주(32~34℃)와 유사하게 높아 남조류 유지 예상
▲ 주요사고 - (화재) ① 07:02경/경남 창녕군 유어면/농막(60㎡)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1:36)/중상 1명, 농막(60㎡) 전소 등 ② 23:14경/경북 영양군 석보면/문학연구소(5개동, 482㎡)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초진 02:34)/재산피해 조사 중 ※ 인명피해 없음 ③ 23:31경/경기 용인시 고기동/단독주택(3/0층, 235㎡)에서 산사태로 인한 발화(추정)로 화재(완진 02:55)/주택(200㎡)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 (사업장사고) 15:10경/울산 남구 황성동/금속류 원료 재생공장에서 덕트(폐기물 악취 배설) 보수 용접 중 덕트 내 메탄가스(추정) 폭발/중상 1명 - (교통사고) 09:57경/경기 수원시 이의동/영동고속도로(광교터널 출구부, 강릉방향)에서 화물차가 빗길 과속으로 미끄러지면서 전차로에 걸쳐 정차 ※ 인명·시설피해 없음/화물차 정차로 3개 차로 차단, 사고차량 견인 및 전차로 소통재개(11:18) - (지진) 22:51경/경북 봉화군/동북동쪽 26㎞ 지역(깊이 6㎞)에서 규모 2.3 지진 발생, 계기진도 Ⅳ(경북), Ⅲ(강원) ※ 피해 및 유감신고 없음 - (정전) 22:23경/서울 강동구 상일동/아파트 단지 내 변압기 누전으로 2개 단지(3,604세대) 정전(복구 23:55) ※ 인명피해 없음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11회(산악구조 1, 응급환자 1, 훈련비행 9) / 2명(구조 1, 구급 1) ❖구급상황관리 : 3,140회(의료지도 363, 대국민상담.지도 2739, 병원전원조정 30, 헬기 1, 재외국민 7) ❖생활안전조치 : 1,400회(동물처리 180, 비화재보확인 431, 잠금장치개방 38, 안전조치 90, 기타 661)
◇ 화재진압 ▲ (공 장) 전남 여수시『○○육류 가공 공장』 - 05:36~10:00, 공장 내부 발화 추정, 약 523㎡ 및 집기류 등 소실
▲ (농 막) 경남 창녕군『창고용 농막』 - 07:02~11:36, 농막에서 발화 추정, 중상 1명, 약 60㎡ 및 집기비품 등 소실
▲ (공 장) 충북 음성군『○○공장』 - 13:14~13:25, 공장 내부에서 발화 추정, 경상 1명, 기계 1대 그을음
◇ 구조・구급・생활안전 ▲ (주택지붕무너짐사고) 충남 공주시『단독주택』 - 08:40~09:00, 지붕 일부가 무너져 거주자 깔림, 사망 1명, 의료지도 및 경찰 인계
▲ (안전사고) 경기 용인시『○○ 건설 현장』 - 13:46~14:52, 물 웅덩이에 작업자 빠짐, 사망 1명, 응급처치 후 병원이송
7월 1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