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북한산과 불암산 부근에서 ‘제2의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국대 지구정보공학연구실은 지난 4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환경부 토지이용 정보를 이용한 서울ㆍ경기 지역의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예측 및 평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산사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평균 토양 유실량은 2000년대에는 1ha당 연간 49.0 ton/ha/yr이나 2040년대에는 55.7 ton/ha/y, 2080년대에는 63.6 ton/ha/yr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토양 유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토지 형태로는 나지(裸地)가 전체의 69.5%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밭(10.77%). 초지(7.11%), 산림(4.50%), 논(3.78%), 주거지(0.35%)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의 경우 북한산과 불암산 부근에서 기후 변화에 따른 강우량 증가로 토양 유실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산 아래 주거지역에 대한 피해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건국대 지구정보공학연구실 관계자는 “올해 서울지역 산사태 규모는 85개소 77.36㎢로 지난해와 비교해 피해면적은 14배, 발생 지점은 35% 늘어났다”며 “경기 동부 산간지역 역시 토양 유실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사방댐 같은 방재 시설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건국대 지구정보공학연구실의 ‘환경부 토지이용 정보를 이용한 서울ㆍ경기 지역의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예측 및 평가’ 논문은 최근 환경부가 주최한 '환경공간정보 우수논문 공모전'에서 학생부 최우수상인 환경부장관상을 받은 바 있다. 이하나 기자 andan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