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8월 18일, 태풍 ‘메기’가 몰고 온 집중호우로 광주 북구 소재 ‘운정저수지’ 제방이 붕괴 위기에 처했다는 출동지령이 내려졌다.
“현재 운정저수지에서 농업기반공사와 인근 주민들이 붕괴 우려 지역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날이 저물어서 조명이 필요하다고 하니까 조명탑이 설치된 펌프차 출동 요청”
지휘대장이던 양영규 소방관은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119상황실로부터 추가 정보를 확보한 뒤 운정저수지를 향해 달려갔다.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자신을 통장이라고 밝힌 한 남성과 마주하게 된다.
“제가 여기 통장인데, 지금 제방이 곧 붕괴될 것 같습니다. 어떻게든 막으려고 하는데… 소방이 빨리 좀 조치를 해주십시오. 정말 큰일 납니다. 빨리요”
다급한 목소리에 현장의 긴박성을 직감했지만 함께 흥분할 일은 아니었다. 상황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양영규 소방관은 대원들과 현장을 둘러보며 위험요소를 확인한 뒤 현장에 나와 있던 농업기반공사(현 한국농어촌공사) 지사장을 만나 대응 방법을 논했다.
“지금 제방 70m 중 30m가량의 둑이 3/4 정도 유실됐습니다. 보셔서 아시겠지만 두께가 점점 얇아지면 힘을 받지 못해 전체 제방이 동시에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농경지뿐만 아니라 저수지 밑에 있는 2개 마을이 모두 침수될 수 있습니다”
억수같이 내리는 비에 이미 제방은 상당 부분 유실된 상태였고 농업기반공사에서 임시방편으로 하는 비닐 막 덧씌우기 작업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 돼 보였다.
양영규 소방관은 뭔가 다른 방법이 없는지 농업기반공사 지사장에게 물었다.
“방법이 있긴 한데… 제방 왼쪽 물넘이 둑을 폭파해서 물이 불어 넘치는 저수량을 수로로 방류하면 되는데… 근데 이게… 아무래도 조금 위험할 수도 있고 말이죠”
위험부담이 많은 폭파작업과 자신의 결정이 득이 될지 독이 될지 확신이 없던 지사장은 말을 흐렸다. 하지만 그 방법 외엔 딱히 해결할 방법이 없다면 빠른 결정이 필요했다.
“현재로서 그게 최선의 방법이라면 지금 당장 조치를 취하시죠. 그리고 폭파에 관한 제반 사항은 제가 추진하겠습니다”
양영규 소방관은 무전기를 들어 상황실에 군부대 폭파팀을 현장으로 보내 달라고 요청했다. 곧이어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현장에 나온 관계기관에 주민 대피를 요청했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강 건너 불구경하듯 그들은 양영규 소방관을 향해 볼멘소리를 쏟아냈다.
“아니, 폭파를 한다고요? 굳이 폭파해야 합니까? 아, 그리고 언제, 어디로 주민들까지 대피를 시킵니까?”
관계기관이라고 나온 공직자의 태도에 무책임함을 느꼈지만 감정적으로 대한다면 좋을 게 없다고 생각한 양영규 소방관은 그들을 향해 이야기했다.
“주민 대피가 번잡스러운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상황은 예측할 수 없는데… 주민들의 목숨을 두고 가능성을 따지며 회피하는 건 공직자로서 바르지 않습니다. 제 말씀을 믿고 따라주십시오”
이윽고 상황실에 긴급 무전이 날라왔다.
“여기 상황실! 지금 담양 11공수여단 폭파팀이 현장으로 출동했다고 합니다”
폭파팀이 현장에 도착하면 바로 작업이 시작될 수 있도록 마을주민 대피가 시급했다.
“여러분! 지금 지체할 시간이 없습니다. 저희와 함께 빨리 주민들을 대피시켜주십시오”
이윽고 11공수여단의 군수참모가 8명의 폭파팀을 이끌고 현장에 도착했다.
“상황은 다 듣고 왔습니다. 현재 상황으로 봐서는 한 번의 폭파로는 무리입니다. 저희 폭파팀이 안전을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여러 차례 나눠서 폭파하겠습니다”
비가 오는 날씨에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는 작업은 쉽지 않았지만 11공수여단의 헌신 덕에 물넘이 둑이 안정적으로 폭파돼 물은 수로로 흘러 들어가기 시작했다. 당초 폭파는 5번으로 예측했지만 3번 만에 완료됐다.
양영규 소방관은 11공수여단, 농업기반공사 관계자와 마주한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정말 다행입니다. 우리가 마을주민과 농경지를 구한 겁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벌어진 운정저수지 물넘이 둑 폭파 작전은 2개 마을주민 70명과 제방 하류에 있던 농경지 17㏊를 보호할 수 있었다.
※ “꼭 폭파밖에 대안이 없었나?” 라는 질문에 양영규 소방관은 “지휘팀장으로서 또 소방관으로서 선택의 순간, 그러니깐 결정을 내려야 할 순간엔 오로지 시민의 안전을 생각하는 마음이 먼저였기 때문에 빠른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것 같다”며 “그게 바로 소방관의 소명이 아닐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광주소방학교_ 이태영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3년 8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희로애락 119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