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감리의 분업화 과정에서 많은 업체들이 기업의 존폐여부라는 갈림길에서 허덕이며 고전분투하고 있지만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어지고 이렇다할만한 대안을 세우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어 소방당국의 전시행정과 행정 편의위주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존 설계와 감리를 병행해왔던 업체들은 기술사에 대한 수요는 많은 반면 공급은 한정되어 있고 기술사들의 몸값마저 연봉 일억 원으로 상향되는 등 경제 한파의 동장군 앞에서 기업경영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상황이 되다 보니 몇몇 영세업체들이 전략적 제휴를 맺어 컨소시엄 형태로 간판만 걸어놓고 감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더욱 경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일부 대형 업체들은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술사들을 확보하니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이윤추구에 치중하는 대형업체의 생리로 소방 기술 발전과 전문화가 소홀히 취급되어질 우려가 높고 설계 업무의 수익성이 낮아 등록 설계업체 수가 줄어들어 설계 수요에 따른 공급부족으로 설계의 부실화 등 또 다른 문제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기술사와 기존 설계 감리 업체들이 만족하지는 못해도 납득이 갈 수 있는 대안조차 마련하지 못한 채 전전긍긍하며 기술사와 현 업체들의 줄다리기를 강 건너 불구경하듯이 바라만 보고 있다.
따라서 법을 개정하기 불가하면 운영지침에 의해 소방기술사의 일정한 인력이 배출된 후 이를 시행하도록 시기를 일정기간 유예하는 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