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여전… 지난해 ‘3시간 이상 지연’ 전년 대비 2배 폭증정춘생 의원 “원인은 의정 갈등, 심정지 환자조차 구급차서 수 시간 방치”
지난 26일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응급환자의 병원 이송 지연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거로 나타났다.
먼저 현장 출발부터 병원 도착까지 1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는 2023년 2만4186건에서 지난해 2만7218건으로 3천 건 이상 늘었다. 올해는 지난 8월까지를 기준으로 1만8591건에 달한다.
3시간 이상 지연된 사례에선 더 두드러진 증가세가 확인됐다. 2023년 251건에서 지난해 551건으로 두 배 넘게 폭증했다. 올해는 8월까지만 해도 벌써 451건의 지연 사례가 발생한 상태다.
지난해 기준 ‘응급실 뺑뺑이’는 지역별로 ▲강원 4058 ▲충남 3319 ▲경기 3251 ▲경남 2686 ▲경북 2394건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정춘생 의원은 “더 심각한 문제는 심정지 환자 등 중증 응급환자조차 ‘응급실 뺑뺑이’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라며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총 7940명의 심정지 환자가 구급차로 이송됐지만 이들 역시 ‘병원 수용 거부’와 ‘이송 지연’의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심정지 환자는 1분, 1초가 생존을 좌우하는데도 구급차 안에서 수 시간 동안 방치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윤석열 정부가 몽니를 부리며 시작된 의정 갈등이 ‘응급실 뺑뺑이’로 이어져 국민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현장에서 만난 한 구급대원은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죄책감에 시달린다’며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의료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즉각적인 응급의료체계 확립이 어렵다면 지역 간 응급의료 협력망이라도 가동해 최소한의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윤 기자 tyry9798@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