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노트북, 전동킥보드, 전기차…. 모두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전자제품이다. 이렇듯 우리의 삶은 이제 리튬이온 배터리에 크게 의존하게 됐다. 그러나 편리함 뒤에는 언제든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숨어 있다. 최근 잇따른 전동킥보드와 전기차 화재는 그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대부분 사용자의 부주의에서 시작된다. 이 말을 뒤집으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기본 수칙만 지켜도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첫째, 정품 충전기를 사용해야 한다. 값이 저렴하거나 인증받지 못한 비정품은 전압 조절이 불안정해 발화 위험이 크다.
둘째, 충전 중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수면 전이나 외출 시 충전하는 습관은 위험하다.
셋째, 충전 장소에 주의해야 한다. 밀폐된 공간보다 통풍이 잘 되는 곳이 안전하다.
넷째, 이상 징후를 확인해야 한다. 배터리가 부풀거나 과열이 감지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작은 불씨가 큰 재난으로 번질 수 있기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개인의 주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함께 만들어가는 안전 문화, 즉 사회적 안전망이 함께 구축돼야 한다. 정부와 기업은 노후ㆍ불량 배터리 회수 체계를 강화하고 다중이용시설 충전 구역에는 화재감지기와 소화설비를 갖춰야 한다. 소방은 현재 리튬이온 화재에 대응할 전문 장비와 훈련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있다. 개인은 습관을, 정부와 기업은 제도와 관리 체계를, 소방은 대응 역량을 맡을 때 비로소 안전망이 완성된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지만 동시에 잠재적 위험을 품고 있다. 그러나 안전은 거창한 대책이 아닌 생활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 정품 충전기 사용, 충전 중 방치 금지, 이상 징후 확인 같은 습관이 큰 화재를 막는다.
안전은 준비하는 사람의 몫이다. 오늘의 작은 습관이 내일의 안전을 지킨다.
미추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이강훈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