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미세먼지, 혹한ㆍ폭염처럼 재난으로 인식해 대처해야”경유차 감축, 친환경차 확대, 석탄화력발전 가동 중단 등 추가 감축 대책 주문
[FPN 최누리 기자] = “혹한이나 폭염처럼 재난에 준하는 상황으로 인식하고 대처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지난주 유례없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많아 국민이 큰 고통을 겪었고 그 답답함을 속 시원하게 해결하지 못해 참으로 송구스러운 마음”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2월 15일 미세먼지 특별법이 시행되고 민관 공동의 미세먼지 특별대책위원회가 출범한다”면서 “실효성 있는 범정부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도록 잘 준비해 주고 국민소통을 강화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미세먼지를 재난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과 미세먼지 총량제를 확대하는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따른 특별법’ 개정을 위해 국회에서도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종합대책 수립과 미세먼지 기준 강화, 특별법 제정 등 과거보다 강력하게 미세먼지에 대응해 왔다”며 “그 결과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개선됐지만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이 잦아지고 기상 상황에 따라 초미세먼지 농도가 기록적으로 높아지면서 국민의 체감은 오히려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손 놓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며 “지금 국민이 바라는 것은 최선을 다하는 정부로, 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시도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유차 감축과 친환경차 확대 로드맵 마련, 석탄화력발전 가동 중단의 확대, 노후 건설기계 고도화, 가정용 노후 보일러의 친환경 보일러 교체 등 추가적인 미세먼지 감축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어린이와 노약자 이용시설의 미세먼지 저감 방안이 동시에 강구돼야 한다”며 “인공강우와 고압 분사, 물청소, 공기필터 정화, 집진기 설치 등 새로운 방안을 연구ㆍ개발해 경험을 축적하고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중국발 미세먼지에 국민 우려가 크다”면서 “중국도 고통받고 있기에 서로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미세먼지 조기경보체계 공동 구축 방안에 대해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