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인터뷰] “위험물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 위한 대안 제시 등 학회 역할 다할 것”

민세홍 제12대 한국위험물학회장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4/07/25 [10:41]

[인터뷰] “위험물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 위한 대안 제시 등 학회 역할 다할 것”

민세홍 제12대 한국위험물학회장

최누리 기자 | 입력 : 2024/07/25 [10:41]

▲ 민세홍 한국위험물학회장이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 최누리 기자


[FPN 최누리 기자] =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 전문지식을 활용해 위험물 재난 관리체계를 재정립하고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문제를 찾아 대안을 제시하는 일에 한국위험물학회가 역할을 다하겠다”

 

한국위험물학회(이하 학회)는 구미 불화수소 누출 사고를 계기로 석유화학과 소방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산ㆍ학ㆍ연ㆍ관의 정보공유를 통한 학술발전을 위해 지난 2012년 설립됐다.

 

학회는 지난해 12월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제12회 정기총회를 열고 민세홍 가천대학교 교수를 제12대 회장으로 추대했다.

 

민세홍 회장은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최적 설계로 석사,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IM)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7년간 기아자동차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다가 1992년부터 가천대학교 설비ㆍ소방공학과 교수로 부임해 후학양성에 힘썼다.

 

특히 가천대학교에 ‘ICT 융복합 화재ㆍ재난 과학연구센터’를 개설해 ‘지능형 위험분석 피해예측기반의 재난(화재)상황 대응 플랫폼 기술 개발’ 등 32건에 달하는 굵직한 국가 연구개발과 용역을 수행했다. 91건의 논문과 154건의 학술대회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현재는 공과대학장을 거쳐 일반대학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교수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물류창고 화재 민관 합동 재난원인 조사단 공동단장과 행정안전부 합동평가위원ㆍ합동평가지표개발 TF 위원ㆍ재난안전조정분과장, 국토교통부 중앙건축위원,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공정 안전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다. 지금도 국가재난원인조사협의회 위원장을 비롯해 서울 등 성능설계심의위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FPN/소방방재신문>은 “위험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에 학회가 서 있겠다”고 포부를 밝힌 민세홍 학회장을 만나 학회의 중점 추진 업무와 향후 계획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다음은 민 학회장과의 일문일답이다.

 

Q. 제12대 한국위험물학회장 취임을 축하드린다. 소감이 궁금하다.

그간 학회 발전에 노력해 주신 전임 회장님들과 모든 구성원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창립 12주년을 맞는 학회는 이제 미래 지향적인 역할을 고민해야 할 시기에 도래했다. 복합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지금까지의 예방ㆍ대응법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학문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loT),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 트윈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재난 관리체계를 재정립하는 등 학회가 국민안전 확보에 중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아울러 그간 산업체와 대학 등에서 쌓아온 노하우와 경험을 결집해 학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 

 

Q. 학회 주요 사업과 함께 올해 추진할 신규 사업이 궁금하다.

학회의 주요 사업은 ▲위험ㆍ유해물 관련 조사ㆍ연구와 기술개발ㆍ컨설팅 ▲국가위험물 안전관리 체계 개선 연구 ▲위험물 분류ㆍ표지 국제표준화 연구 ▲국가 위험ㆍ유해물 운송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 ▲위험물 화재ㆍ폭발 연구 등이다.

 

학회장 취임 당시 세 가지를 목표로 제시했다. 첫 번째는 연구능력 강화다. 가장 먼저 학회 내 부설 연구소를 개설했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R&D)과 용역을 수주하고 정부에서 위험물 관련 입법 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 정책에 반영되게 하는 등 학회 영향력을 넓힐 계획이다.

 

두 번째는 학회 업무 분업화와 전문화다. 조직이 발전하려면 촘촘한 운영시스템이 뒷받침돼야 한다. 초창기에는 조직이 안정되지 않아 몇몇이 주도하면서 학회를 운영했지만 규모가 커진 만큼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조직 내실화를 다지고 효율적인 체계 하에 운영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은 대정부 업무 참여와 관계기관 협조체계 강화다. 2022년 물류창고 화재 민관 합동 재난원인 조사단 공동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여러 관계기관과 함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대통령께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이론은 실무 현장에서 활용될 때 그 가치가 더욱 빛난다는 걸 깨달았다.

 

학회 역시 위험물 안전 분야 발전을 위해 실무 현장에서 다양한 이론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관계기관 협력을 더욱 강화해 재난 예방과 피해 최소화 관련 정책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

 

Q. 부설 연구소의 개설 배경과 앞으로의 목표가 궁금하다.

학회는 창립 12주년을 맞았지만 다른 학회와 비교해 기반이 약하다. 부설 연구소를 만든 이유도 연구 범위를 넓혀 학회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처음으로 국방 관련 사업을 수주받아 학회 연구소장인 나현빈 명지대학교 교수와 연구부소장인 고권현 동양대학교 교수가 연구를 시작했다.

 

재난은 점점 대형ㆍ복잡화되고 있다. 발생 이후 대응하면 늦는다. AI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재난을 예측하는 시스템이 중요한 이유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재난을 예측하다 보면 대응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부설 연구소를 통해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문제를 찾아 분석ㆍ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소임을 다하고 싶다.

 

학회에는 위험물 관련 엔지니어와 산업계 관계자가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전문지식과 실무 경험을 연구 과제에 적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화학사고 원인 조사를 통한 재발 방지와 위험물 안전관리역량 공유 세미나’ 당시 모습   © 한국위험물학회 제공

 

Q. ‘위험물안전관리법’과 ‘화학물질관리법’ 간 중복 규정이 논란이다. 어떤 내용인가.

지난 5월 22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제소방안전박람회에서 소방청이 주최하고 학회가 주관한 ‘화학사고 원인 조사를 통한 재발 방지와 위험물 안전관리역량 공유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의 주요 내용은 ‘위험물안전관리법’과 ‘화학물질안전관리법’ 간 법 동일 규정을 달리 해석하는 문제와 중복 규제로 인한 행정적 혼란 등이었다. 관련 산업계에선 이 문제를 모두 인지하고 있었지만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학회가 관련 내용을 발제했고 소방, 환경 등 관계기관과 함께 토론을 진행했다. 현재는 학회 차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연구가 완료되면 행정안전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에 개선을 요구하고 나아가 국회 토론회를 열어 해당 사안을 공론화해 신속히 반영ㆍ개선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Q. 전국 위험물 관련 종사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가장 위험하고 난해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집단이다. 학회는 현장에서 정립되지 않고 운영되는 업무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명문화하겠다. 이를 통해 이론과 실무가 일치되는 제도가 도입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 아울러 안전한 생활 터전을 위해 학회와 산업계가 혼연일치 되는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하겠다.

 

Q.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

학회는 단순히 친목 도모를 위한 모임이 아니다.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위험물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발굴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전문가 단체다. 사명감을 갖고 국가 안전 확보에 노력하겠다.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해도 재난에 완벽히 대응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도 관련 사고는 늘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와 관계기관, 학회, 전문가가 모여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지속해서 수립해야 한다.

 

학회 역시 위험물 관련 분야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는 일에 중심이 되겠다. 회원들의 전문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보다 더욱 안전한 위험물 현장이 확보되고 관련 산업이 발전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인터뷰] 관련기사목록
FPN TV
[FPN TV/화재학습②] 부천 호텔화재 당시 소방 대응 논란과 이면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