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대형 산불 악순환 이대로 안 돼”… 대구안실련, 대응 체계 개편 촉구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5/04/02 [10:29]

“대형 산불 악순환 이대로 안 돼”… 대구안실련, 대응 체계 개편 촉구

최누리 기자 | 입력 : 2025/04/02 [10:29]

▲ 지난달 23일 소방대원들이 경북 의성군에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FPN 최누리 기자] = 시민단체가 경북 산불과 관련해 “사상 최악의 인재”라며 산불 지휘 권한을 소방청으로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은 2일 성명을 내고 “산불의 상시ㆍ대형화 추세를 고려할 때 더는 과거 방식으로 대응할 수 없다”며 “재난 대응 체계 전반의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산불확산 예측시스템은 대형 산불 시 발화지 위치와 지형, 기상조건 등을 분석한다. 산림청은 그 결과를 토대로 진화대원 배치와 주민 대피 업무 등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산불 당시 이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았다는 게 대구안실련 설명이다. 

 

대구안실련은 “산불 당시 어디로 대피해야 할지 몰라 재난 문자에만 의존하다 피해를 입은 주민이 적지 않다”며 “산림청은 이 시스템을 왜 가동하지 않았는지 분명히 밝히고 중대시민재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체계적인 화재 진화를 위해선 산불 지휘 업무를 산림청에서 소방청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대구안실련은 “산림청이 산불 지휘를 맡는 현재 체계는 한계가 명백하다”며 “2022년 울진 산불과 이번 경북 산불 모두 비가 내려 진화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이는 산림청의 비전문가 중심의 산불 지휘 체계와 소방 전문인력 부재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산림청은 1만1천여 명의 산불 진화대를 두고 있지만 95%가 65세 이상 고령의 일용직이고 435명의 특수 진화대원과 104명의 공중진화대가 전국을 맡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라며 “소방은 6만7천여 명의 전문인력과 9만5천명의 의용소방대원, 전국 1500여 개의 상시 거점이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산림청이 임도가 부족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해명하지만 현재 인력 구조로 임도 진입 진화가 가능하다고 보긴 어렵다”며 “오히려 임도가 산불 확산 통로가 될 수 있는 만큼 현실과 동떨어진 논리에 기반한 변명은 중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헬기에 의한 항공 진화의 경우 산불 확산을 막을 순 있지만 불을 끌 순 없다”며 “전문가 중심의 방재 전략으로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