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김기현의원, 소방방재청 직무소홀 지적

구급차 필수보유장비 및 약품보유 확보 못해

광고
박찬우 기자 | 기사입력 2007/04/27 [10:59]

김기현의원, 소방방재청 직무소홀 지적

구급차 필수보유장비 및 약품보유 확보 못해

박찬우 기자 | 입력 : 2007/04/27 [10:59]
한나라당 김기현 의원은 24일 소방방재청의 지도·감독을 받거나 전국 시도의 소방관서가 운행하는 119 구급차 상당수가 주요 응급장비를 갖추지 않은 속칭 '깡통 구급차'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최근 소방방재청으로 제출받은 '119 구급차에 두는 구급 장비 및 약품에 대한 보유현황에 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방방재청은 지난 2005년 8월30일자로 '구급차에 두는 장비기준'을 제정했으나 소방청과 시도소방관서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확보 장비와 약품에 대해서도 소방청이 추가 확보를 지시하는 최소한의 지침조차 내려보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소방방재청의 4월 현재 구급차 필수 보유 장비 및 약품 보유 현황 중 응급환자 처치기구로서 기도확보에 필수적인 호기말 이산화탄소(co2) 측정기의 경우 강원도는 104개 확보기준에 단 1개의 수량도 확보하지 못해 0%의 확보율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 역시 30개가 기준이지만 1개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부산은 55개 중 3개를 확보해 5.5%의 확보율을, 서울은 115개 중 15개를 확보해 13.5%의 확보율을 보이는 등 상당 수 119 구급차가 주요 구급 장비를 갖추지 않은 채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응급의약품도 확보율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로 정맥주사세트의 경우 강원은 21.0%, 인천 22.4%, 대구30.0%, 충남 37.3%, 경남 41.2%의 확보율을 보이고 있어 저조한 수준이다. 
 
심장마비에 사용되는 니트로글리세린(경구용)은 인천 11.1%, 강원 25.0%에 불과하며, 흡입용 기관지 확장제의 경우 경남 9.3%, 강원 25.0%의 확보율을 보였다. 
 
김 의원은 "소방방재청장이 제정·고시한 '구조 및 구급 장비 기준'을 소방청의 일선기관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책무를 최우선으로 하는 소방방재청이 직무를 소홀히 하고 있음은 물론 소방청 스스로 자신의 만든 법규를 무시하는 자기모순을 빚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구급차 관련기사목록
광고
INTO 119
[INTO 119] 무더위도 녹이지 못한 열정… 소방 영웅들의 올림픽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