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여름은 더 이상 단순한 계절의 흐름으로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장마와 태풍, 그리고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오는 국지성 집중호우는 매년 우리 삶을 위협하며 자연의 경고를 반복하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는 예측이 어렵고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쏟아내는 특성으로 인해 도시와 농촌, 해안과 산간을 가리지 않고 광범위한 피해를 남긴다.
일반적으로 집중호우는 1시간에 30㎜ 이상, 또는 하루 80㎜ 이상의 누적 강수량이 기록될 때를 말한다. 중요한 건 그 비가 닿는 지역의 준비 상태다.
실제로 장마 기간에는 큰비 없이 지나가다가 장마가 끝난 직후 갑작스레 쏟아지는 폭우로 인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집중호우가 태풍과 달리 사전 예보와 경고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응은 더욱 민첩하고 철저해야 한다.
도시에서는 저지대 주민의 대피, 노후 가옥ㆍ위험 축대 접근 금지, 전기설비 점검 중단, 차량 감속 운행 등이 기본적인 대응 방안이다. 농촌에서는 농작물 보호, 배수로 정비, 논둑 보수, 소규모 교량의 안전 확인이 필요하다. 산간 계곡의 야영객은 신속히 안전지대로 대피해야 하며 해안 지역의 선박은 결박 조치를 통해 충돌을 방지해야 한다.
자연재해는 완전히 막을 수 없지만 우리의 작은 습관과 관심이 큰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하고, 기상 예보에 귀 기울이며, 위험 지역에 대한 이해와 대비를 생활화하는 게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일이 반복되지 않게 하는 길이다.
기후는 우리에게 끊임없이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행동으로 응답할 때 우리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로운 공동체가 될 수 있다.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김재균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