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소방안전본부, 봄철 소방안전대책 중점 추진추위가 풀리는 해빙기, 산불․공사장 안전사고 주의해야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본부장 이재화)는 오는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개월간 산불,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 등 봄철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
봄철은 다른 계절에 비해 평균 습도가 낮아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강한 바람이 불어 산불 등 화재 위험성이 높고 기온이 오르면서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기 때문에 공사장 붕괴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5년간(′09~′13) 광주지역 화재 분석자료에 따르면 전체 화재 6,254건 가운데 봄철인 3월부터 5월까지 전체 화재의 30.6%에 해당하는 1,915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화재로 인해 49명의 인명피해와 57억여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봄철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1,283건 66.9%로 가장 높았으며, 방화(의심) 110건 5.7%, 전기적요인 69건 3.6%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 소방안전본부는 봄철 화재예방을 위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인명피해 발생 우려가 높은 교육연구시설 184곳, 고층건축물 97곳, 문화재 51곳, 청소년 수련시설 6곳 등 395곳에 대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하고,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의 신축공사현장 36곳에 대해 간부급 소방공무원을 지정해 해빙기 안전사고 방지 및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지도를 실시한다. 또한, 농사 준비로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 등으로 산불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논・밭두렁을 태울 때에는 소방관서에 신고 후 공동 소각하도록 홍보・지도하고, 등산객이 많이 몰리는 주말과 공휴일에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이 합동으로 산불조심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특히, 소방헬기를 활용해 무등산 국립공원 등 주요 등산로를 순회순찰하고 안내방송을 실시하는 등 산불예방활동을 적극 추진한다. 광주시 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건조한 봄철에는 사소한 불씨에도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만큼 시민들의 화재예방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며 “특히, 산불예방을 위해 등산을 할 때 라이터 등 인화물품을 휴대하거나 담배를 피우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되며, 논・밭두렁 태우기는 가급적 자제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박래현 객원기자 prh-top@daum.net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민과 소통하고 믿음을 주는 '119'
![]()
광주소방안전본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